뉴스
"유전공학"(으)로 총 1,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연구자 나고야의정서 가이드①] 국제 공동연구도 사전허가 필요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08.23
- ※편집자 주: 8월 17일 한국에서도 해외의 생물 유전자원이나 전통지식을 활용할 때 관련 법률에 따라 자원 제공국의 사전허가를 받고, 이익도 공유하도록 하는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됐습니다. 이에 동아사이언스는 실제 연구 현장에서 생물 유전자원을 활용하는 연구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해드 ... ...
- 17일 한국에서도 ‘나고야의정서’ 발효…“연구 현장에도 타격 예상” 동아사이언스 l2017.08.16
- 장영효 한국생명공학연구원 ABS연구지원센터장이 8일 대전 유성구 생명연 본원에서 ‘나고야의정서’ 발효 이후 국내 생명공학 분야 연구 환경에 나타날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ABS연구지원센터는 국내 생명공학 관련 산·학·연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ABS 관련 연구자 교육과 국제 분쟁 대응 지 ... ...
- 혹성탈출 보기 전 알아두면 좋은 과학지식 셋동아사이언스 l2017.08.11
- 집단을 이끄는 대장이다. 비슷한 체구일 때 침팬지는 인간보다 2배 가량 힘이 세고, 유전공학의 힘을 빌리면 영화 속 침팬지처럼 지능이 뛰어난 개체가 나올 수 있다. - 20세기폭스코리아 제공 “유인원은 뭉치면 강하다.” 침팬지 ‘시저’는 유난히 뛰어난 지능을 가졌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 ...
- 내 뇌에 너의 기억을 심으면 나는 너일까, 나일까?동아사이언스 l2017.07.30
- “뇌의 정보를 컴퓨터처럼 읽고 쓰는 게 가능해진다면, 다른 사람의 기억을 주입할 수도 있을 겁니다. A의 기억을 가진 B는 A라고 봐야 할까요, B라고 봐야 할까요?” 김소윤 의료법윤리학연구원 부원장(연세대 의대 의료법윤리학과장, 교수)이 28일 대구 동구 한국뇌연구원에서 열린 ‘2017 신경윤 ... ...
- 인간이 생명을 창조할 수 있을까 …무더위 날릴 ‘과학 바캉스’동아사이언스 l2017.07.29
- 최인걸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합성생물학, 생물을 창조하다’란 주제로 첨단 유전공학기술에 대해 강연했다. 사이언스 바캉스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 윤신영 과학동아 편집장 이어진 네 번째 특별 강연으로 ‘기억의 그늘, 치매’를 주제로 최영식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장이, 다섯 ... ...
-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과학동아 l2017.07.27
- 당신의 스마트폰이 의사가 된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장치와 센서를 활용하면 따로 측정기를 달지 않아도 간편하게 질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다. 스마트폰만으로도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하 앱)과 숨은 과학적 원리를 소개한다. GIB, 과학동아 제공 카메라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고온다습(高溫多濕). 아무 거나 머리에 떠오르는 대로 사자성어 하나를 말하라면 이런 엉뚱한 답을 할 것만 같은 후덥지근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작년처럼 간다면 앞으로 한 달은 이런 날씨를 견뎌야 하는데 걱정이다. 매인 곳이 없는 프리랜서라는 이점을 살려 8월에는 ‘홋카이도(北海道) 한달 ... ...
- 실험실에서 만든 인공장기, 실제와 얼마나 유사할까동아사이언스 l2017.07.18
- 메디컬그래픽스 제공 신약 평가 등을 위해 만든 인공 장기가 실제 장기와 얼마나 유사한지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개발됐다. 인체 조직과 더 비슷한 인공장기 개발이 가능해지리란 기대다. 조현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단 선임연구원 팀은 간 유사체의 분화 수준 및 ... ...
- 피부세포→신경세포 변신시켜 파킨슨병 고친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8
- 손상된 세포를 되살려 불치병을 치유하는 기술로 흔히 줄기세포가 꼽힌다. 하지만 세포를 줄기세포로 되돌렸다가 원하는 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이 복잡해 실용화가 더디다. 나노 기술을 이용, 손상된 세포에 줄기세포를 주입하지 않고 주변 세포를 직접 필요한 세포로 바꾸는 기술을 국내 연구 ... ...
- 대한민국 스타과학자의 산실, 젊은 과학자상 20년史동아사이언스 l2017.07.14
- 젊은 과학자상은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연구와 개발 실적이 뛰어난 젊고 유능한 과학기술자를 발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1997년에 만들어졌다. 만 40세 이하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에 근무하고 있으며 최근 5년 이내에 우수한 연구 실적이 있는 과학자라면 누구나 수상 자격이 있다. 수상자에게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