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뉴스
"
흔적
"(으)로 총 1,10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력파 검출 파문] 빅뱅 증거 찾았다더니 다시보니 ‘우주먼지’
2015.02.02
꾸리고 다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당시 데이터 해석이 잘못됐으며, 중력파의
흔적
으로 볼 만한 근거가 없다는 내용의 논문을 이번에 다시 발표한 것이다. 원인은 유럽 연구팀의 지적대로 우주먼지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논문에서는 데이터를 재차 검증한 결과 중력파의 명확한 증거를 ... ...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
과학동아
l
2015.01.29
휘어 있었다. 또 방향이 바뀔 때도 도구를 뗀
흔적
이 없었다. 연구팀은 “우연히 이런
흔적
이 만들어지긴 어렵다”며 “의도를 갖고 그린 일종의 낙서”라고 결론지었다. 직접 도구를 가지고 재현을 해봤는데 제작이 몹시 힘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낙서를 예술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자료가 남아있는 것을 고려했을 때, 초기 인류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은 물론 그
흔적
을 발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미국 UC리버사이드 이상희 교수의 ‘인류의 탄생’을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12-2013년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식인종, 최초의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화석에서 보이는 칼자국은 도축(짐승을 잡아먹기 위하여 칼로 손질하는 일)을 한
흔적
과 비슷해야 할 겁니다. 하지만 식인이 아니라 2차장(시신을 처음 매장한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난 뒤 뼈를 깨끗이 손질해 다시 묻는일. 한국에서도 경남 진주 등지에서 최근까지도 이뤄지고 있다)을 했다면 ... ...
매머드 멸종 불러온 빙하, 혜성 충돌 탓 아니었어?
2015.01.07
“지금까지 혜성 충돌설을 지지해온
흔적
들은 사실 당시 신생대말 인류가 불을 사용한
흔적
”이라고 주장했다. 연구 결과는 ‘고고학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지난해 마지막호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2014년 3월 우주배경복사에서 빅뱅의 중력파
흔적
을 발견했다고 발표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던 미국 하버드-스미스소이언 천체물리센터를 중심으로 한 국제공동연구팀(바이셉2 실험)의 발표가 엉터리라는 주장을 처음 제기한 프린스턴대의 ... ...
나미브와 타이탄의 기막힌 만남
2015.01.04
1억 년 동안 진화한 과정이 면밀히 드러났다. 모기의 X염색체에는 유독 새 유전자를 얻은
흔적
이 많았으며 가지고 있던 유전자를 잃는 일도 빈번했는데, 이 과정을 통해 말라리아와 관련된 기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다는 것이다. 또 사람과 유인원 등 숙주의 범위를 넓혀가는 과정도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3쪽자리 논문에서 시작된 100년의 혁명
2015.01.02
수학자 쿠르트 괴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풀어 얻은 답을 근거로 하고 있다. ‘빅뱅의
흔적
’으로 불리며 지난해 처음 검출되면서 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중력파 역시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을 맞아 미국과 유럽은 각각 중력파 관측 프로젝트인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수천 점을 남겼다. 자일라허가 카메라루시다를 써서 직접 그린 삼엽충과 그 이동
흔적
인 생흔화석을 묘사한 그림. - ‘Trace Fossil Analysis’ 제공 제럴드 구럴닉 (1936. 9. 17 ~2014. 4. 26)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했지만 노벨상은 타지 못한 물리학자 제럴드 구럴닉. 힉스 메커니즘을 가장 먼저 ... ...
성범죄 용의자, 머리카락 세균으로 검거
2014.12.16
범인의 정보를 얻기는 어렵다. 하지만 최근 이런 머리카락에서도 범인의
흔적
을 발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바로 머리카락에 남아있는 세균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호주 머독대 연구팀은 사람 몸에 사는 세균이 마치 지문처럼 사람마다 고유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사람의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