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스페셜
"
열
"(으)로 총 1,077건 검색되었습니다.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
KISTI
l
2014.01.16
LED 불빛 아래 서면 영화 한 편을 모바일 메신저 한 글자처럼 빠르게 보낼 수 있는 세상이 온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케임브리지대의 합작벤처인 ‘초병렬 가시광통신 프로젝트팀’은 ... 극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조명과 통신이 융합된 새로운 세상이
열
릴 것이다. ... ...
골디락스 영역 속 제2의 지구를 찾아라
KISTI
l
2014.01.06
10개만이 지구 크기였는데, 크기가 지구 지름의 1~2배이고 온도는 모성으로부터 적당히
열
을 받아 생명체에 적합한 상태였다. 연구팀은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는 빛의 양의 1/4~4배를 받는 행성을 ‘생명체 거주 가능’ 행성이라고 정의했다. 에릭 페티구라는 ‘행성 찾기 알고리즘’을 개발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받고 1981년 현대심리치료연구소에서 가족치료사 자격증을 얻어 심리치료클리닉을
열
었다. 치료사 일과 함께 애쉬는 장애인 고용차별 문제를 연구했는데 어느 날 한 생명윤리 회의를 참관하게 된다. 당시 토론 주제는 척추갈림증이나 다운신드롬을 지니고 태어난 아기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치료를 ... ...
[실험] 정전기를 막아라! 정전기 방지제 만들기
KISTI
l
2013.12.13
전자가 빠져나가도록 한 후 잡는다. 또 정전기는 마찰로 인해 잘 생기기 때문에, 대전
열
순서를 기억하고 있다가 이용하면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어떤 제품을 이용할 때 전자를 쉽게 얻는 소재보다는 전자를 쉽게 잃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머리를 빗을 때는 플라스틱 ... ...
곰이 북극에서 살아남는 비법
KISTI
l
2013.12.10
꼬리는 다른 종류의 곰에 비해 유난히 작다. 돌출된 부분이 작으면 몸 밖으로 방출되는
열
을 줄여 체온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추운 곳에 사는 포유동물의 경우 북극곰처럼 몸의 말단부위가 유사 종에 비해 작은 것을 생태학에서는 ‘알렌의 법칙(Allens rule)’이라고 한다. 귀가 유난히 작은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라디에이터로 흘려보내는 것이었다. 한꺼번에 많은 방을 난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
열
이 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난방 효율도 공기를 직접 데우는 것보다 높았다. 라이트는 온돌에 라디에이터를 결합했다. 라디에이터로 공기를 데우지 말고 바닥을 데우는 것이 그의 생각의 출발점이었다. 결과는 ... ...
[채널A] KRS 단백질 작동 막아…폐암·유방암 100% 차단물질 찾았다
채널A
l
2013.11.12
다국적 제약회사들은 앞 다퉈 암 전이 차단 물질을 발굴해 항암제를 개발하는 데
열
을 올리고 있습니다. 연구진은 임상실험 등을 거쳐 이르면 6년 뒤 국내 최초로 혁신 신약이 개발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현경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31111/588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시장에서는 점점 분위기가 변하고 있었다. 여러 기업이 정전식 복사기가 새로운 시장을
열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 것이다. RCA는 칼슨의 특허를 전혀 침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독자적인 건식 복사방법을 개발했으며 IBM은 할로이드의 복사기술을 사들여 직접 제작하는 것까지 고려했다. IBM은 컨설팅 ... ...
[채널A] 면역특성 역으로 이용…독감 백신 맞으면 더 위험?
채널A
l
2013.11.01
허를 찌르는 바이러스의 이런 전략은 20년 전 동남아에서 8000명을 사망에 이르게 한 뎅기
열
바이러스의 침투방법과도 유사합니다. [인터뷰 : 성은주/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독감의 유행시기가 내년 봄까지 간다든가.... 만성질환자의 경우에는 봄경에 재접종을 해야하는지를 주치의와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다양하다. 문제는 이런 사람들이 갈수록 늘어나 이제
열
에 두세 명은 된다는 것. ●
열
에 두세 명은 알레르기 증상 보여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멋진(?) 이론이 바로 ‘위생 가설’이다. 현대인들은 위생상태가 너무 좋아 면역계가 할 일이 없어져 예전 같으면 신경도 안 쓸 꽃가루를 적으로 인식해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