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중
뒤
아래
이후
이래
스페셜
"
이하
"(으)로 총 1,22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곳곳의 병원에서 환자 수십 명이 고병원성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Clostridium difficile.
이하
클로스트리디움) 박테리아에 감염돼 다수가 사망하는 사고가 이어졌다. 사실 북미와 유럽에서는 항생제내성 클로스트리디움으로 매년 수만 명이 사망하고 있다. 원래 클로스트리디움은 정상인의 장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원상태를 찍은 것이고 위는 파낸 부분을 흰색으로 칠해 눈에 잘 띄게 처리한 상태다.
이하
이미지는 처리한 상태만 보여준다. - ‘인류학적 고고학 저널’ 제공 한 장면에 가장 많은 개가 등장하는 암각화다. 왼쪽에 암말(말은 수년 천 뒤에야 가축이 된다)과 새끼가 보이고 바로 앞에 사냥꾼이 활로 ... ...
[사이언스 지식IN] 北 신형 ICBM 화성 15형, 워싱턴까지 타격한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29
따르면 화성-14형의 경우 고각 발사 후 대기권 재진입속도가 마하 20 (시속 약 2만4500㎞)
이하
지만 정상각 발사에서는 마하 24~25 (시속 약 3만㎞)정도로 시속 5000㎞ 이상 차이가 나게 됩니다. 또 재진입 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해 미사일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고각 발사 때와 정상각 발사 때 재진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학술지 ‘네이처 화학생물학’ 10월 30일 온라인판에는 구충제 니타족사나이드(nitazoxanide.
이하
NTZ)가 특정 유형의 대장암과 전립선암을 치료하는 항암제로 유력하다는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이 공개됐다. 1974년 파스퇴르연구소의 화학자이자 의사인 장-프랑수아 로시뇰이 개발한 NTZ는 장에 서식하는 ... ...
[사이언스 지식IN] 연초형 일반 담배 VS 궐련형 전자담배, 건강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상당부분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는 입장만 내놨기 때문이에요. 연초형 일반 담배(
이하
연초 담배)가 몸에 나쁘다는 것이 기본 상식처럼 인식되고 있는 것과 달리 액상형과 궐련형을 포함하는 전자담배의 유해성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한 상태입니다. 담배 회사에서 발표한 내용을 곧이곧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상대적인 감마(prefrontal relative gamma)’라는 뇌파 패턴으로 측정한다. 상대적인 감마(
이하
RG)란 파장이 4~7헤르츠인 세타파와 8~13헤르츠인 알파파의 합에 대한 25~45헤르츠인 감마파 세기의 비율이다. 흥미롭게도 전전두엽의 RG가 스트레스 지표라는 사실이 밝혀졌는데,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RG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아리스톨로크산(aristolochic acid)이라는 폴리페놀분자와 관련 분자들이 존재하는데(
이하
뭉뚱그려 AA라고 부른다), 벨기에 처방에 쓰인 광방기 분말에는 1그램 당 0.65밀리그램 수준으로 들어있었다. 그리고 AA가 바로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AA는 세포핵에 있는 게놈의 DNA의 퓨린 염기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초저주파는 극도의 저음파나 진동으로서,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청취 범위(20㎐~22㎑)
이하
의 주파수를 지닙니다. 이 소리는 일반적으로는 들리지 않지만 어떤 이에게는 불안감과 공포 등 다양한 느낌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0.5~10㎐ 범위의 큰 저주파는 내이에서 전정기관이나 평형 시스템에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일본 토호쿠대 지구물리학과 다펑 자오(Dapeng Zhao) 교수의 '빅 맨틀 쐐기(Big mantle wedge,
이하
BMW) 모델'이 학계에서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런데 이번 학술회의에서 BMW 모델의 허점이 제기된 데 이어, 인도와 유라시아판의 충돌에 의한 백두산 생성 가설도 새롭게 등장하면서 토론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있는 에게르텔라 렌타(Eggerthella lenta)라는 박테리아가 디곡신을 환원시켜 활성이 없는 다
이하
이드로디곡신으로 바꿔놓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약효를 본 사람들의 장에도 에게르텔라 렌타가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지난 2013년 ‘사이언스’에는 이 혼란을 해결한 논문이 실렸다. 즉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