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광합성 과정에서 엽록소가 빛을 흡수하는 반응은 엽록체 내 ‘그라나’라는 아주 작은 구조에서 이뤄진다. 이처럼 작은 공간에서 이뤄지는 엽록소의 생화학 반응을 국내 연구진이 μ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크기의 물방울을 이용해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남홍길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 노화 ... ...
- [과학뉴스] ‘항문 먼저 입 나중’ 초기 후구동물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이한 모습의, 모래알만 한 고대 미생물 화석이 발견됐다. 이 생물은 지금까지 발견된 후구동물(수정란의 초기 배아 단계에서 항문이 먼저 생기고 입이 나중에 생기는 동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물고기의 조상으로 추정된다.중국과 영국 등 공동연구팀이 중국 중부 산시 성에서 발견한 고대 미 ... ...
- [Issue] 독극물 괴소문의 진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장의 이복형인 김정남 씨가 2월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제2국제공항에서 피살됐습니다. 경찰은 독극물에 의한 중독 사망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이처럼 독극물은 누군가를 은밀히 해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입니다. 독극물을 둘러싼 괴소문들을 지금부터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급성 충수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충수 주위의 림프 조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면역 글로불린 A(IgA)와 뮤신 단백질이 장내미생물의 성장을 돕는다는 사실도 밝혀냈다(doi:10.1016/j.jtbi.2007.08.032). 파커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건강한 장내미생물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충수와 ... ...
- [Info] “ 인플루엔자, 대비만 잘하면 위험한 존재 아냐”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난 2월 11일, 150여 명이 동아사이언스 용산 사옥을 가득 메웠다. 생태계에서 가장 영리한 존재이자, 인류의 영원한 적인 ‘인플루엔자’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서였다.과학동아의 독자 초청 과학 토크콘서트 ‘과학동아 카페’ 32번째 주제는 과학동아 2월호 특집인 인플루엔자였다. 최근 조류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나는 통로 구멍이 이 역할을 대신 한다.귀는 균형감각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빙글빙글 돌면 속귀의 반고리관이 흔들리면서 어지럼을 느낀다. 모든 턱뼈를 가진 척추동물의 귀에는 전치부, 후부, 측방에 세 개의 반고리관이 있다. 머리와 몸의 움직임을 감지해, 이를 목과 눈의 근육을 제어하는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의 고민을 상담할 ‘디제이(DJ) ㄱ씨’ 입니다. 사람들과의 관계가 점점 소원해지는 일이 많아지고 혼술, 혼밥을 즐기는 ‘혼혼족’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속 얘기를 마음껏 털어놔도 되는 이 시대의 동반자는 반려동물이다, 동의하시나요? 한국의 대표 반려동물, 강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Unique Tip 진로반도체와 메모리소자, 그래핀 등 유망한 것들을 연구하는 만큼 전망도 매우 밝다.박 교수는 “우리가 연구하고 있는 반도체가 쓰이지 않는 전자산업은 거의 없을 것”이라며 “국내 유명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회사 연구개발팀에 취직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초물리, 전자, 재료 관련 ... ...
- Part 2. 2017 구제역 전파 원인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지난 2월 5일 충북 보은군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구제역이 발생했다. 그 다음날 전북 정읍시, 이틀 뒤 경기 연천군의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 그 뒤 다시 충북 보은군 곳곳에 있는 소 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이번에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는 혈청형이 대부분 O형이다. 그런데 2월 8일 경기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명태만큼 이름이 많은 생선이 있을까. 우리나라에서는 막 잡아올렸거나 얼리지 않은 싱싱한 명태(생태)나 꽁꽁 얼린 명태(동태)로 얼큰하게 탕을 끓이거나 매콤하게 쪄먹었다. 꾸덕꾸덕하게 말려 찜 요리에 적당한 코다리, 노릇노릇하게 구워먹는 노가리, 통통한 주머니 안에 작은 알들이 가득 담겨 ... ...
이전1021102210231024102510261027102810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