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진은 도처에서과학동아 l1994년 08호
- 변함이 없다.미국 동북부지역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바로 그 밑 깊숙한 곳에도 오래된 단층들이 놓여 있다. 지질학자 개리 N. 노티스는 뉴욕주에서만도 약 20년 간격으로 해로운 지진이 발생한다고 말한다. 대개 피해는 가벼운 정도지만, 콜럼비아 지방에서 진행되는 ... ...
- PART.2 게임기에서 의학용까지 무한대 활용과학동아 l1994년 07호
- 한다. 우주항공 분야에도 입체영상 이용3D가 적용돼 가장 효과를 볼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의학분야다. 3차원의 비디오영상은 의사로 하여금 수술에서 발생할지도 모를 시행착오를 방지하게 하며 수술경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외과의사들의 사전 수술 시뮬레이션 계획에 3D ... ...
- 1등사수의 지름길, 포물선 운동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눌 때 오줌의 속도가 크면 그 오줌이 그리는 포물선이 뚱뚱한 형태로 되고 속도가 작으면 바로 떨어지기 때문에 홀쭉한 포물선이 된다는 것은 우리 경험으로 알고 있다. 위에서는 이를 물리적으로 따져서 확인한 것이 된다. 포물선 운동의 응용폭격을 하기 위해 수평으로 날고 있는 비행기가 ... ...
- (3) '초봄이 한여름' '한여름이 가을'의 대이변과학동아 l1994년 07호
- 갖춰야 할 것이다.1983년 9월1일은 기억에도 새로운 KAL 007기가 피격된 날이다. 그로부터 바로 1년 뒤인 1984년 9월1일에는 대홍수가 일어나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초래했다. 원혼의 눈물이 아닌 정상적인 일기현상이겠지만 쉽사리 잊을 수 없는 기억중의 하나다. 작금의 환경보호 운동도 당장 우리 ... ...
- 우라늄·플루토늄·핵무기의 삼각관계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만들기 위한 '맨해턴 프로젝트'의 원자로인 '시카고파일'이나 북한의 영변 원자로 등이 바로 그것이다. 영변 원자로는 중성자감속재로 흑연을, 냉각재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가스냉각로다. 이는 몇개월만에 플루토늄 양이 최대로 되기 때문에 이때 핵연료봉을 교체해 재처리하면 플루토늄을 많이 ... ...
- (1) '외계물체 충돌'이 천지 창조했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혜성물질이 흩뿌려지고, 지각에도 유기물질이 집적되는 지역이 형성된다. 오로의 주장은 바로 이 지역이 생명 탄생의 무대라는 것이다.1987년 오로의 주장을 뒤집는 새로운 설이 제기됐다. 항공우주 전문기업인 미국 마틴마리에타사에 근무하는 벤톤 클라크는 혜성이 지구에 충돌하는 상대속도는 ... ...
- 물리- 바늘 끝서 노는 요술팽이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놓는다.④ 회전축을 변화시키면서 돌려본다.바늘 위에 돌고 있는 팽이를 바로 세우면 바로 세운대로 돌고, 축을 기울여 올려 놓으면 기울어진 채로 돕니다. 이 때 팽이의 속력이 빠르면 빠를수록 팽이가 더 오래 돕니다. 이렇게 회전하는 물체가 쓰러지지 않고 안정돼 있는 것은 팽이가 도는 회전축이 ... ...
- 화학- 얼음이 물 끓이는 신비의 세계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무더운 여름, 가뜩이나 더운데 웬 물 끓이기냐구요? 이열치열이란 말처럼 더위를 더위로 이겨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 아닐까요. 더구나 얼음 ... 올려줌으로써만 끓는 것이 아니라 낮은 온도에서도 압력을 낮춰주면 끓을 수 있습니다. 바로 외부압력과 증기압력이 같아지기만 하면 되니까요 ... ...
- PART.1 두눈 시각차 이용, 환상의 3차원 영상 만든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입체안경도 있다. 비교적 잘 알려진 적청, 또는 적록안경과 편광안경(Polarized glasses)이 바로 그것이다. 사용되는 두개의 이미지는 청색과 적색으로 입력돼 있고 이미지를 볼때 왼쪽 눈에는 적색의 이미지가, 오른쪽 눈에는 청색의 이미지가 각각 보여진다. 그 결과 뇌에서는 이를 완전한 하나의 ... ...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과학동아 l1994년 07호
- 받아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소행성대를 '태양계 최후의 미답지역'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지구 충돌 확률은?그렇다면 앞으로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어느 정도일까. 여기에 명확한 답을 내리기는 어렵다. 일본 천문학자인 나카무라와 요시카와박사는 궤도가 확실히 ... ...
이전1025102610271028102910301031103210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