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1,649건 검색되었습니다.
왕가의 가족회의 세페우스자리
과학동아
l
199908
1819-1892)는 여덟번째 행성이 있다는 가정을 세우고 2년간 연구 끝에 제 8행성의 질량과
궤도
를 계산했다. 계산 결과 1845년 9월 염소자리 델타별 부근에 미지의 행성이 존재할 것으로 예언했다. 르베리에(1811-1877)도 같은 계산 결과를 얻어 이 계산 결과를 토대로 마침내 1년 뒤 해왕성이 발견됐다. 지금도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08
그쳤다. 두번째 우주비행사인 버질 그리섬(35세) 역시 15분에 그쳤다.미국이 최초로 지구
궤도
를 돌 수 있었던 것은 아틀라스 로켓이 완성된 뒤였다. 존 글렌은 1962년 2월 20일 프렌드십(우정)을 타고 4시간 55분 동안 지구를 3바퀴 돌면서 러시아의 뒤를 좇았다.그러나 러시아의 보스토크는 미국의 추격을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07
폭발하고 말았다.그동안 미국은 1972년 12월까지 13호를 제외하고 17호까지 18명이 달
궤도
를 돌았고 이중 12명이 달에 발을 디뎠다. 달에서 골프도 쳤고 달자동차를 이용해 드라이브도 즐겼다. 이제 더 이상 달 착륙은 미국 국민들에게는 뉴스거리도 되지 못했다. 결국 중단 여론에 밀려 20호까지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07
성과라면 지구 밖에 있는 방사선띠인 밴 앨런대를 발견했다는 것.익스플로러 1호가 지구
궤도
에 오르자 흐루시초프는 스푸트니크와 비교하면서 “작은 오렌지 만하군”하며 비웃었다. 익스플로러의 무게가 5kg(스푸트니크 1호의 약 16분의 1)에 불과했기 때문이다.미국은 이후 1969년 달에 착륙하기 ... ...
[비교] 미국과 러시아의 달정복 전략
과학동아
l
199907
대 LK 미국의 달착륙선인 LEM(Lunar Excursion Module)은 2명의 우주비행사를 월면에 내렸다가 달
궤도
로 다시 귀환시키기 위한 우주선이다.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공기역학적인 고려가 필요 없어 실용 위주로 설계됐다. 거미처럼 생겼다고 해서 별명은 ‘거미’. 그러나 별명과 달리 아폴로11호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07
완성년도를 2020년으로 미뤘다.1997년 11월 시미츠에 이어 미국의 WAT&G사도 2017년까지 지구
궤도
에 1백명을 수용할 수 있는 우주호텔을 세우겠다고 발표했다. 이 계획은 일본의 시미츠보다 3년이 앞선 것. 특징은 근육이 약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전용체육관, 우주유영을 경험할 수 있는 관광시설, 야채를 ... ...
유전자 혁명과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07
20세기의 허리를 싹둑 잘라냈던 2차대전이 끝나자 이데올로기를 압세운 냉전이 다시 똬리를 튼다. 공교롭게도 동서냉전의 최전선은 한국. 그때 시작된 분단은 ... 이 슬픔을 아는지 모르는지 과학의 수레바퀴는 생명복제의 비밀을 풀고 최초의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
에 올려놓으며 굴러간다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06
대륙의 위치 변동과 융기,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감소로 인한 온실효과 감소, 지구 공전
궤도
나 자전축의 주기적 변화 등 많은 가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그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아메리카 인디언은 아시아인빙기가 되면 바닷물이 눈과 얼음 형태로 육지에 쌓여 해수면이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06
천체라는 것에 이견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이시우 교수는 “만일 명왕성이
궤도
를 약간만 달리 잡아 태양 가까이로 오게 됐다면 아마 혜성이 돼 사라졌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제천문연맹은 지난 2월 명왕성을 소행성으로 재분류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식으로 명왕성을 계속해서 행성(Planet)으로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1. 포스트 유전자 시대 스타 이건수
과학동아
l
199906
서열이 완전히 밝혀진 2003년 이후 유전자를 이용한 각종 질병 치료는 이제 어느 정도의
궤도
에 올랐으나 신경생물학은 그의 연구가 출발점이 돼 가속화 될 것이라는 것이 전세계 언론의 평가다.이상은 가상 시나리오다. 하지만 불가능한 일만도 아니다. 생물학의 시대를 꽃 피울 젊고 패기있는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