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상
d라이브러리
"
한 면
"(으)로 총 2,207건 검색되었습니다.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09
받아도 부러지는 대신 휘어지고 힘이 사라지
면
원상태로 복귀
한
다. 또 표
면
의 화학적 구조가 조금만 바뀌어도 전기적 성질이 쉽게 변해 다양
한
수준의 반도체나 도체를 만들 수 있다.최근 탄소나노튜브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의 핵심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09
층을 이용
한
다. 이 유기분자 단층은
한
쪽
면
이 전자 주게로, 그리고 다른
한
쪽
면
은 전자 받게로 정렬되도록
한
다. 그리고 유기분자 단층을 2개의 전극과 맞물리게
한
다. 이때 전자 주게의
면
을 (+)전극에, 전자 받게의
면
을 (-)전극에 닿도록
...
5 햇빛 받으
면
전기 발생시키는 염료
과학동아
l
200309
1cm×1cm×6개=6cm2이다. 그런데 이 정육
면
체의 각
면
을 4등분하
면
한
정육
면
체의 표
면
적은 0.5cm×0.5cm×6개=1.5cm2이고, 8조각의 표
면
적은 1.5cm2×8개=12cm2이다. 즉 잘게 쪼갤수록 표
면
적은 증가
한
다. 따라서 마이크로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08
있다.증발냉각의
한
계 0.3K그렇다
면
극저온의
한
계는 액체헬륨의 끓는점인 4.2K일까. ... 돌아갔다.극저온의
한
계에 도전
한
다그렇다
면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극저온의
한
계는 μK일까. 아니다. 몇년 전 이 온도의
한
계를 뛰어넘는 방법이 개발됐다. 1997년 ...
48시간 동안만 재생되는 일회용 dvd
과학동아
l
200308
子午面) 순환은 그 밖의 지역의 자오
면
순환보다 활발
한
것으로 미루어 모식적으로는 ... 광선을 사용하여 불투명
한
광석같은 표
면
을 관찰하도록 만들어진 현미경 대표적인 반사현미경은 광석현미경이며 금속현미경도 반사현미경의 일종이다현미경의 광축에 수직으로 설치된 광원에서 나온 빛을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07
나타나는 비례상수 중력상수라고도
한
다IC 434라 불리는 산광성운(散光星雲)의 전
면
에 돌출된 부분이 말머리처럼 보여 ... 있으며 이들을 꼭지점으로 하여 사
면
체로 표시
한
것이다 자형결정(自形結晶)은
한
방향으로 뻗은 주상이고, 뻗은 방향에 평행
한
조선이 잘 발달되어 있다흔히 추상 · ...
4 태양 아래에서 자동 충전되는 입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307
정보를 다루는 분야에서 활용하
면
손쉽게 데이터를 처리해 정밀
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정보전송의 ... 결정체처럼 주기적으로 배열하
면
광신호의 이동경로를 바꿀 수 있다.
한
편 양자 광통신은 기존의 광통신보다 수천만배 빠른 정보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기존의 광통신은 하나의 정보단위를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07
등) 또는 와이어 코드와 병용
한
것도 있다노
면
에 대
한
흡착성이 우수하여 코너링 특성·제동성·승차감 등이 좋고 마모가 적다보통 현미경이 가진 미소영역의 관찰 기능 외에 같은 미소영역의 동적 물체에 레이저광을 비추어 이들 빛의 산란광에서 생기는 도플러주파수 편이를 조사하여 그 ... ...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07
있고, 또
한
상당히 고가여서 광범위
한
면
적의 피부 손상을 치료하기가 어렵다 ... 배양피부의 경우에도 동종세포에 대
한
면
역 거부 문제가 있고, 자가세포의 경우 단기간에 필요
한
만큼 많은 수의 세포를 확보하기 어렵다. 이식
한
후 생체 내 생존율 역시 떨어진다.표피 재생 비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
과학동아
l
200307
그는 1천5백편 이상의 논문과 책, 그리고 다양
한
글들을 썼다. 그가 살았던 20세기뿐 아니라 인류 ... 어떤 수학자도 따라오지 못할 정도의 방대
한
양이다.그렇다
면
우리나라에서 수학관련 논문이나 저서를 가장 많이 쓴 학자는 누구일까. 바로 서울대 수학과 박세희 명예교수(67)다. 박 교수는 2백5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