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늘
침
잔뼈
강모
침상 결정
구더기
구데기
d라이브러리
"
가시
"(으)로 총 1,073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이 만들어 내는 찬란함 색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반사율 표준판을 사용하여 점검한다.분광광도계와 컴퓨터를 연결시킴으로써 자외선,
가시
광선, 적외선 영역의 파장별 반사율과 파장별 투과율이 수치와 곡선으로 제시되도록 하였다. 측정된 색은 CIE(국제조명위원회)의 X Y Z좌표 뿐만 아니라 먼셀 색표시로도 표시되며 색차도 다양하게 표시할 수 ... ...
PART1. 개념과 특성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우리가 보통 경험하는 대로 작은 물체도 통과하지 못하고 그림자를 만든다. 일반적으로
가시
광선은 균일한 매질 내에서는 직진하는 것으로 간주하여도 무방하지만 특수한 상황에서는 빛도 퍼져나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아주 작은 바늘구멍이나 슬리트에 햇빛을 쪼여주면 구멍이나 틈새를 ... ...
PART2. 의료에서 정보처리까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전기적 신호가 방송전파로 전달되며 TV수신기에서는 수신된 전기신호가 브라운관에 의해
가시
광 명암의 스크린 영상으로 변환된다. 비디오장치에서도 비디오 카메라가 광학적 영상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테이프에 기록하며 기록된 신호는 VTR에서 재생시 광학적인 영상으로 전환된다. 컴퓨터 ... ...
미국의 통신개방압력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있다는 점에서 큰 비중을 두고 있지 않다.통신개방에 따른 피해나 영향은 단기간에
가시
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중추신경을 남에게 빼앗긴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
PART3. 쾌적한 조명환경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파장이 긴 적외선(7백80nm∼1nm)으로 구성된다. 이 글에서는 사람의 눈이 느끼는 빛, 즉
가시
광선에 대해 주로 언급하였다.광원은 크게 두가지 즉 자연광원과 인공광원으로 나눌 수 있다.자연광원은 말 그대로 인위적으로 만든 광원이 아닌 자연 그대로의 광원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지구상의 모든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물체의 적외선을 만든다. 그러면 광전면에서 방출된 전자는 집속되어서 형광면상에
가시
상을 만드는데 이 상을 접안렌즈로 관찰하는 것이다.별빛을 활용하기도현재 세계 각국에서 사용하는 야간감시장비에는 많은 종류가 있다. 그중 별빛을 증폭해서 사용하는 성광경(星光鏡, star light scope)은 2. ... ...
PARTⅠ날로 용도가 확대되는 태양열 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태양열집열기 난방 태양로 태양열발전소 등등.태양열 증기선으로부터태양열은 열선과
가시
광선의 형태로 지상에 쏟아져 내려 지구를 따뜻하게 데워주고 온갖 생물들을 키우고 있다. 실제로 인류는 옛부터 빨래를 말리거나 야채나 곡물을 키우는데 태양열을 이용하였다.이처럼 풍부하고 유용한 ... ...
가장 약한 파(波)―중력파 The Weakest Wave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의식하고 있는 이유는 지구는 거대한 물체이며 그것의 무수한 입자들의 인력이 무언가
가시
적인것을 추가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중력파는 가장 약하고 가장 얇으며 우리가 탐지할 수 있는 어떤 효과도 만들어 내지 않는다. 중력파때문에 지구가 잃고 있는 에너지양은 너무 적어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이런 효과에도 불구하고 방출된 에너지의 대부분이 우리 눈으로 관측할 수 있는
가시
광선 형태로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표면현상보다 늦게 발견되었다(1859년).플레어는 태양의 대류층에 있다가 흑점을 뚫고 코로나 속으로 솟아 오른 자기장이 폭발적으로 안정성을 잃게 될 때 시작된다. 그때 ... ...
길엽초'신세 면하게 돼'길엽초'신세 면하게 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잘 안다니는 곳에 핀 장미는
가시
가 없고, 사람의 왕래가 빈번한 곳에서 핀 장미는
가시
가 많이 나 있었어요.이정:잘 보셨습니다. 그게 바로 식물의 자기방어메커니즘에 의한 현상이에요. 그밖에도 식물이 스트레스를 받으면 별별 현상이 다 생겨요. 예를 들면 식탁위에 놓인 꽃에는 검은 반점이 많이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