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속한 시아노박테리아는 독성물질을 만들어낸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직 논란이
남아
있어요. 독성 물질들이 소화기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거든요.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도 오염 위험 때문에 스피루리나에 대해 ‘안전할 것이다’ 정도로 판단을 애매하게 내렸답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등이 책상과 의자 곳곳에 묻었다는 거예요.이처럼 사건 현장에는 범인의 흔적인 증거가
남아
있어요. 그리고 이 증거들은 범인을 찾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따라서 과학수사관들은 증거물들을 꼼꼼하게 찾아내고 과학적 기술과 지식, 장비를 최대한 활용해 범인을 찾아요. 이 과정을 ... ...
[과학뉴스] 태양계 밖에도 오로라가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그런데 보통은 갈색왜성이 전파를 거의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큰 의문점으로
남아
있었죠. 그러던 중, 2006년 연구팀은 이 전파가 오로라를 갖고 있는 행성의 전파와 비슷하다는 것을 발견했답니다. 그리고 헤일 망원경과 켁 망원경 등 광학 망원경을 이용해 갈색왜성을 더 자세히 관측해 전파와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비교적 물에서 분해가 잘 되기 때문에 사라지고, 물에 녹지 않는 유지(기름)만이
남아
열과 압력을 받아 석유가 됐다는 거예요.실제로 석유가 발견되는 근처에서는 동물 플랑크톤 중에서도 양이 많기로 유명한 유공충 화석이 많이 발견돼, 이런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답니다. 미래 에너지원, ... ...
장님 물고기는 먹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안녕? 나는 지구 정복을 꿈꾸는 악당, 닥터 그랜마! 늘 지구 정복을 도와 줄 지구 생명체를 찾아다녔지만 실패하고 있지. 오늘도 아주 멋진 지구 생명체를 찾아서 ... 발표했어요. 배부름을 모르는 내가 당신의 지구 정복 파트너가 된다면 당신의 식량이
남아
나질 않을 거예요. 괜찮겠어요 ... ...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 반짝반짝 금모래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입자가 끌어당기는 힘보다 크다. 그래서 설탕 입자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고 고체 상태로
남아
있는다. 이처럼 가루 물질은 입자들끼리 당기는 힘이 액체가 끌어당기는 힘보다 작을 때만 녹을 수 있다. 제주도의 돌하르방을 본 적이 있지? 돌하르방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조각상 전체가 까맣고 곳곳에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중동이나 아프리카, 동
남아
시아 등의 저개발국가에는 아직까지 홍역을 비롯한 전염병이
남아
있거든요. 야생동물을 자주 접하거나 마시는 물이 오염돼 있는 등 비위생적인 환경 때문이지요.한편 독일의 이론물리학자인 더그 브로크만 박사는 유럽에서 전염병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확산되는지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3호
협력해 2008년에 처음 시작한 행사예요. 그 당시 지구상에는 판다가 고작 1600여 마리밖에
남아
있지 않았어요. 중국에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판다 서식지인 대나무숲이 급격하게 줄었기 때문이에요. 파울로 그랑종은 사람들에게 판다의 위기를 알리기 위해 재활용 종이로 판다 인형 1600개를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커다란 화석 덩어리에는 약 1.2~2억 년 전 쥐라기 시대의 다양한 식물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지요. 지금의 남극 땅은 쥐라기 시대에는 적도 쪽에 위치했지만, 판이 이동하면서 지금은 남극에 위치하게 됐어요. 그래서 더운 지역에서나 살 수 있는 키 큰 식물의 화석이 지금의 남극에서 발견되는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만물은 수’라고 말을 했지만 세상에는 아직도 수학으로 풀지 못할 신비함이 많이
남아
있다고도 믿고 싶어졌습니다. 믿음으로 마음이 편안해지고 믿음으로 세상이 아름다워진다면 믿는 것이 오히려 더 현명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참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던 미얀마 여행.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