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빛을 내지 않고, 빛을 내는 물질과 반응 하지도 않는 미지의 물질이라는 데서 비롯됐다. 덕분에 암흑물질은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력 효과로 추론만 가능하다. 한 예로 암흑물질이라는 멋진 이름을 생각해낸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 츠비키는 1933년 코마 은하단에 속한 은하들의 평균 공전 ... ...
- 질서┃우주의 미래···우리는 어디로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태양은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사라질지 추정해왔다.태양은 질량이 작은 3세대 별인 덕분에 수명이 길다. 46억 년 전에 탄생했으나, 그보다 훨씬 더 긴 시간 동안 우주에 존재해 있을 것이다. 물론 그때까지 지구에 생명체가 존속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태양은 가지고 있던 수소를 거의 다 태우고 나면, ... ...
- [동아리탐방] 수학에 눈뜨자! 경희여고 MathEye수학동아 l2019년 07호
- 3학년 최지영 양은 “학생들이 원하는 건 모두 적극적으로 지원해 주시는 홍창섭 선생님 덕분에 알찬 동아리 활동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하고 싶은 거 다 해~! “얘들아, 올해 매스아이에서 뭐 하고 싶니?”매년 동아리 첫 시간에 홍 교사가 하는 말이다. 일부러 계획이 없는 ‘척’한다. ... ...
- 축제에 웬 귀신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저장하고 읽어요. 두 부품이 0과 1로 이뤄진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자석’의 힘 덕분이에요. N극과 S극을 갖고 있는 자석이 서로 다른 극끼리는 잡아당기고, 같은 극끼리는 밀어내는 성질을 이용하는 거지요.하드 디스크에 전류를 흘리면 헤드와 플래터에 각각 자석이 만들어져요. 우선 ... ...
- 아폴로 8호, 역대 가장 무모한 임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구돋이’ 사실은 착시효과 ‘지구돋이(Earthrise)’는 최초로 달 궤도에 접근한 아폴로 8호의 비행 중 윌리엄 앤더스가 촬영한 사진에 붙 ... 기뻐하며 이렇게 말했다. 크리스마스 당일에 어울리는 미국식 유머였다. 산타의 선물(?) 덕분일까. 아폴로 8호는 무사히 지구로 돌아올 수 있었다 ... ...
-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수학동아 l2019년 07호
- 원리’라는 아주 중요한 정리가 있으니까요. 이 중요한 정리가 우리 비둘기 덕분에 널리 알려졌다는 건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거예요! 비둘기집의 원리는 경우의 수를 구할 때 유용한 개념으로 원리가 무척 간단해서 실생활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요. 사실 처음부터 ‘비둘기집의 원리’ 였던 건 ... ...
- 탐험┃인도, 첫 시도에 성공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인도가 우주 개발을 저비용 고효율로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은 자체 개발한 발사체 덕분이었다. 메이븐의 경우 발사에 사용한 아틀라스V 로켓에는 러시아 엔진이 탑재돼 있지만, 인도는 발사체의 모든 부품을 국산화해 비용을 낮췄다. 이 같은 발사체 기술에 힘입어 인도는 현재 세계 5위권의 우주 ... ...
- 올챙이 꼬리 ‘이것’ 덕분에 재생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일부 동물의 꼬리가 재생된다는 사실은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찰 기록에도 나올 만큼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정확한 기작은 17세기 후반이 돼서야 밝혀졌다.영국 케임브리지대 고든연구소 연구팀은 올챙이의 꼬리가 재생되는 새로운 기작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트루노스는 기존 시스템보다 1만분의 1 수준으로 적은 전력(25~275mW)으로 구동했다. 덕분에 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10대 연구 성과’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사실 자가 학습능력은 없었다. 인텔은 2017년 학습 기능을 보완한 뉴로모픽 반도체 ‘로이히(Loihi)’를 개발했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다시 회복되는 특성을 보였습니다. 기존 전자소자에 쓰던 재료를 그대로 사용한 덕분에 정보 처리 성능도 뛰어났습니다. 버클 구조로 제작하면 재료의 특성에 관계없이 스트레처블 특성을 갖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한 것입니다. 로저스 교수팀은 이후에도 2차원 말굽 모양 전극 구조도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