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
범죄
추행
부정 행위
악행
날기
미친 짓
d라이브러리
"
비행
"(으)로 총 2,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시대라구! 기호 4번, 우주의 비밀을 밝힐 우주 재료예요. 극저온과 고온, 또 초음속으로
비행
하거나 대기권을 돌파하는 경우 만나는 가혹한 환경에도 우주선을 보호하면서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끈기 있는 재료들이죠. 우주의 비밀을 밝히고 외계 생명체와 교류하는 미래의 지구, 멋지지 않나요? 그 ... ...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ESA가 추진 중인 2개 유인 우주개발 사업 가운데 하나다. 시모네타 디 피포 ESA 유인우주
비행
국장은 “화성이야말로 유인 우주 탐사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적지”라고 말한다. 달 이외에는 지구 밖 천체에 발을 디딘 일이 없는 인류에게 화성이야말로 장거리 우주여행의 가능성을 열어줄 최적의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날갯짓
비행
체는 기본적으로 플랫폼과 페이로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사용자와
비행
체 간 원활한 교신 문제도 해결할 과제다. 실전에 배치하려면 원하는 방향으로 보낼 수 있는 조종성이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 교수는 “궁극적으로 사용자는 고급 명령만 내리는 방향으로 로봇새를 ... ...
자연의 놀라운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펴는가 싶더니 순식간에 생쥐를 낚아챈다. 속도도 속도지만 생쥐를 덮친 수리부엉이의
비행
곡선은 예술 그 자체다.나무 위에서 생쥐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는 직선이 분명하다. 수리부엉이는 수학을 잘 몰라서 곡선을 택한 것일까? 수리부엉이는 나무 아래로 떨어지듯 급한 경사로 내려오더니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호주인 대부분은 해안지역에 살고 있다. 국토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내륙지방이 매우 건조해 인간이 생활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탓이다. 호주인들은 이 지역 ... 50m인 울페크릭 크레이터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운석충돌구로, 이 지역을 횡단하던
비행
사들에 의해 발견돼 세상에 알려졌다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나로호는 발사 216초(3분 36초)만에 페어링이 정상 분리되지 않아 그 뒤부터 비정상적인
비행
을 했기 때문에 상단로켓이 이후 작동과정이 제대로 이뤄졌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나로호 발사가 실패할 경우 3번째 발사가 추진될 수 있을지도 여전히 미지수다. 올해부터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촉촉하고 점차 온도가 올라가는 이른 아침이 고치를 갓 벗어난 곤충이 날개를 말리고
비행
을 준비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그는 EMS라는 DNA를 손상시키는 약물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다양한 돌연변이체를 만들었다. 그 뒤 돌연변이체 자손을 얻어 이 녀석들이 우화할 무렵이 됐을 때 24시간 내내 ... ...
대장 비둘기는 왼쪽을 좋아해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위치추적장치를 달아서
비행
경로를 추적했습니다. 총 15개 무리의 비둘기를 조사해
비행
경로를 나타내는 수학모델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비둘기 무리는 맨 앞에 있는 비둘기를 따라 움직인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때 대장 비둘기는 가운데가 아닌 왼쪽에 치우쳐서 날고 있었습니다.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모두 보통이 아니었지요. 내친김에 다 같이 멀리 날리기 대회도 했답니다. 신나게 종이
비행
기를 날리며 놀고 나니 편집부에선 선물까지 주더라구요. 친구들과 내 얼굴엔 웃음이 가득했답니다.이렇게 멋진 명예기자들이 만들 2010년 어린이과학동아가 더욱 기대되네요. 명예기자들이 재능의 날개를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엔진(왼쪽)이 대표적인 예다. 또한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을 돛처럼 생긴 막으로 받아
비행
하는 상상 속의 우주선(오른쪽)처럼, 미래에는 반중력을 이용해 하늘이나 우주를 나는 우주선이 탄생할지도 모른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