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상
한 짝
대항자
반대자
대면
상대방
고대
d라이브러리
"
상대
"(으)로 총 4,22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매우 어렵다. 계산해야 하는 양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이다.이것과 비교해 메르센 소수는
상대
적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 메르센 소수를 찾는 ‘뤼카-레머 판정법’을 쓰면 비교적 짧은 과정을 통해 소수인지 아닌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메르센 소수를 찾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Prime95에도 이 ... ...
Intro. 100년만에 증명된 아인슈타인의 예언 중력파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6년 중력파의 존재를 예측한 지 꼭 100년 만이었다. 일반
상대
성이론이 예측한 현상 중에서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숙제가 풀리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이 소식을 생중계했고, 전세계 언론은 대서특필했다. 이후 중파 검출 뉴스는 북한 핵실험과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정상적인 보행이 어렵다. 염증이 없는 다리에 힘을 더 싣게 되고, 나머지 한쪽 다리는
상대
적으로 근육을 풀고 걷기 때문에 보폭이 달라진다. 염증이 있는 쪽은 발이 바깥쪽을 향하게 된다.용의자의 진료기록이 필요하다.기계공학과 교수 CCTV 속 사람의 보폭을 측정해 달라는 의뢰가 들어왔다. CCTV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했다(doi:10.1136/oemed-2011-100615).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임신한 네덜란드 여성 4680명을
상대
로 조사했더니, 일주일에 25시간 이상 서서 일한 여성들이 낳은 아이들은 전반적으로 머리둘레가 3% 정도 더 작았고, 몸무게도 148~198g가량 적게 태어났다. 조산하는 경우도 더 많았다.핵심은 서는 게 아니라 ‘앉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않는 것이 좋다. 나쁜 점 말고 좋은 점들도 상기해보고, 나또한
상대
에게 부족함이 많은
상대
일 수 있다고 생각해보자.한 가지 덧붙이자면, 인간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모든 사람이 그러는 건 아니다. 개인차가 존재한다. 일례로 불확실성을 잘 견디지 못하는 사람이나 위험에 민감한 ... ...
[과학뉴스] 답답하면 너도 큰 뇌를 가져보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 생명공학몸집에 비해
상대
적으로 머리가 큰 동물일수록 문제해결능력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와이오밍대 동물학및생리학과 사라 벤슨-앰럼 교수팀은 39종의 포유류 육식동물을 대상으로 몸집과 뇌의 크기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차이를 분석하고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거리에 따라 세기가 변하면서 다른 물체에까지 미치게 되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
성이론으로 다시 설명한 중력은, 바로 질량을 가진 물체가 시공간을 휘게 만들면서 생기는 힘이다.아인슈타인은 이 원리를 담은 방정식을 계산해 수성의 근일점이 100년에 43초 움직인다는 답을 얻었다. 또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있는 것은 맞지만 딥러닝이 만사형통은 아닌 것 같다. 보통 사람들은 언제쯤 알파고를
상대
할 수 있을까.감 1997년에 체스를 정복한 딥블루도 모양에 의존해 체스를 뒀다. 이런 딥블루를 구동하기 위해 특별 제작된 특수 하드웨어가 필요했다. 딥블루는 하드웨어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문제가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뚜렷한 반응이 나타난다”며 “반면 불안은 정량적인 측정이 어려운 감정으로 평소와는
상대
적으로 다른 행동들을 보고 추정해야 해 연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편도체도 모르는 공포가 존재우어바흐-위데병(Urbach-Wiethe disease)은 인간의 편도체 기능을 밝히는 데 많은 역할을 했다. 우어바흐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조금 불리한 형세가 되자 일찍 포기해버렸다. 20수나 내다볼 수 있는 컴퓨터를
상대
로 무리하지 말자고 생각한 것이다. 2국이 끝난 뒤, 검토과정에서 흑이 어렵지 않게 비길 수 있는 길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카스파로프는 더욱 동요했다. 3~5국을 어렵게 비긴 뒤 맞이한 마지막 대결에서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