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행자
d라이브러리
"
신비가
"(으)로 총 1,03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암의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지상에서 가장 오래된 대륙을 강렬한 태양과 바람과 물이 깎아 만든 지질시대의 기념비들 수수께끼의 대륙영화 '매드맥스' 제2편의 무대는 제3차 세계대전 후의 죽음의 세계이다. 끝없이 펼쳐진 황야에서 원유를 지키려는 그룹과 이를 탈취하려는 폭력집단의 사투가 전개된다.오스트레일리아의 내 ... ...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밑바닥의 지름이 30㎞에 높이가 3㎞나 되는 거대한 화산체의 일부만이 바다 위로 모습을 드러낸 것이 울릉도이다. 망망한 동해바다 한가운데 우뚝 솟아 오른 화산섬(火山島) 울릉도와 독도. 깎아세운듯 기립해 있는 해안절벽과 바다를 수놓은 기암괴석이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울릉도와 독도는 화 ... ...
전문적 내용보다 과학에 대한 이해를 높혔으면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얼마전 과학주간 행사로 학교에서 초청 강연회를 열었다. 모 대학 대학원장이며 매스컴에도 자주 등장하는 분으로서 보통 학교에서는 감히 초청한다는 말을 꺼내기도 어려운 분이 연사였다. 모든 선생님들과 잔뜩 기대를 하고 기다렸다. '2000년대의 첨단과학기술과 우리의 나아갈 길'이라는 제 ... ...
기계는 상식을 가질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인공지능 논쟁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인공지능이 얼마나 현명한가 하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제한받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인공지능분야에서 종사하고 있는 과학자들은 좁은 지식분야에서 추리하는 능력을 가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만들어 낼 수는 있었으나 하나의 중대한 모순에 봉착하고 있다. ... ...
나비의 멋과 신비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햇볕이 밝게 내리쬐는 자연 속의 싱싱한 풀숲과 우거진 나무의 새 잎 사이를 훨훨 날아 다니면서 꽃에서 꿀과 화분을 따고, 암수가 어울려 비상하다가 교미를 하고, 알을 낳고 하는 나비의 생태.부지런한 제주꼬마 팔랑나비5월의 따뜻한 햇빛을 받아가며 신록이 파릇파릇 돋아나는 경기도 양주군 보 ...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다음은 아직도 시원히 해명하지 못하고 있는 잠과 꿈의 현대적 풀이다. 원전은 C.EVANS의 'Landscape of the night,와 E.Hartmann의 'The Functions of Sleep'로서 최광복씨가 편역했다.외계인이 지구 상공으로 날아와서 지구의 생물들이 사는 꼴을 자세히 관찰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한눈에 "이 곳은 살 곳이 못되는군" ...
미국의 국립공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미국은 빙하와 협곡, 대삼림, 그리고 늪과 호수등 자연경관을 그대로 보존하여 후세에 남겨 주려고 국립공원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야생으로의 회귀포장마차 대열이 몇겹이고 이어진 아팔라치아 산맥의 캠버랜드 산협을 넘어 서부로 향했던것은 그렇게 먼 옛날의 일은 아니다. 1760년, 유명 ... ...
종양수술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극쪽으로 끌려갔다. 과학자들 사이에는 아직 숙제로 남아있는 백혈구의 치유력의
신비가
그의 이론에 의해 한가닥 벗겨진 셈이다. 그는 스웨덴인들의 느긋한 생활방식과는 달리 무서운 정력으로 일에 몰두했다. 그날의 문제를 훑어보고 다음날의 실험계획을 짜면서 10시에 잠들면 새벽 3~5시에 ... ...
천문 우주과학연구소 김두환 소장 '우주과학은 첨단기술의 총화'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우주과학 기술은 당장의 효과는 적을지 모르지만 관련 산업에 미치는 부추김 효과는 엄청날 것입니다"대덕연구단지 북쪽끝 논두렁에 덩그마니 둥근 돔이 하나 있고 이제 막 치장을 끝낸 하얀 건물 하나가 앙증맞게 자리잡고 있다. 나중에 눈에 띈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부설 천문우주과학연구소'라 ... ...
안에서 찍은 첨성대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경상북도 경주시 인완동 반월성(半月城) 동북쪽에 있는 첨성대(국보31호)는 현존하는 동양최고의 천문대로서 의심이 여지가 없으나 유감스럽게도 현재의 학문수준으로는 그 신비의 베일을 완전히 벗기지 못하고 있다.우선 첨성대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첨성대의 지상 높이는 9.17m의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