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22. 초대형 케이크, 공평하게 나눠 먹으려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것을 수학으로 증명했습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최대 5번 자를 때 공평하게 나눌 수 있죠. 이후 많은 수학자가 더 많은 사람이 있을 때 공평하게 케이크를 나누는 알고리듬을 만들어 컴퓨터로 이 문제를 풀려고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약 55년 동안 이렇다 할 최적의 알고리듬을 찾지 못했어요. 그러던 ...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교수), 마이클 코스털리츠(미국 브라운대학교 교수)가 수상자로 선정됐기 때문입니다. 이후 이 분야는 더 넓어져 고체 물질뿐 아니라 다양한 물질에도 적용돼 연구됐습니다. 그리고 약 5년이 지난 올해 8월, 정준우 울산과학기술원(UNIST) 물리학과 교수팀이 영국 더럼대학교, 브리스톨대학교 연구팀과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논문에서 “익숙함의 차이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글 창제 이후 1900년대 후반까지 한글 글꼴 디자인은 거의 대부분 네모틀이었다. 심 미 성 │ 맛있어 보이게 만드는 글꼴글꼴은 소비자의 선택에 다양한 영향을 준다. 그중 하나가 음식이다. 어쩌면 우리는 그동안 ... ...
- [가상 인터뷰] 혜성이 털어내는 '우주 비듬'이 5200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부르는 천체지. 옛날 사람들은 혜성이 지구의 대기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생각했어. 이후 영국의 천문학자인 에드먼드 핼리는 혜성이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태양계의 일원이라는 사실을 1705년에 발표했지. 혜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거야?혜성은 카이퍼벨트●또는 그 바깥을 떠돌다가 ... ...
- 나만의 트랙에서 쌩쌩! 그래비트랙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먼저 높은 곳으로 올라가요. 롤러코스터의 위치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해서지요. 이후 정상에 다다른 롤러코스터는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해 빠른 속도로 트랙을 달리며 짜릿함을 선사한답니다! 이벤트가정의 달 특집그래비트랙스 콘테스트 그래비트랙스를 갖고 노는 영상을 SNS에 ... ...
- [특집] 누가 뭐래도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증명된 우리땅 독도는 약 460만~250만 년 전에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돌섬입니다. 이후 수면이 상승하면서 동도와 서도 두 개의 큰 섬과 작은 섬들로 분리됐죠. 독도의 바다는 구로시오 해류에서 분리된 따뜻한 동한 난류와 찬 북한 한류가 만나 영양염류가 풍부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플랑크톤과 ...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5초가 걸렸으며, 소수점 아래 1만 8177번째 자리까지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이후 1915년 인도의 천재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무한급수인 초기하급수를 개발해 알고리듬 성능을 더 높였습니다. 현대적인 π값 연산 알고리듬 중에는 1987년 미국 수학자 데이비드 추보스키와 그레고리 ... ...
- [수학체험실] 전체 속의 부분,부분 속의 전체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뜻을 가진 라틴어 ‘프랙투스(fractus)’에서 따와 이름 붙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많은 수학자를 거쳐 프랙털은 번개나 나뭇가지, 산이나 구름, 해안선의 모양 등 불규칙해 보이는 자연 현상을 프랙털로 표현해 연구하는 ‘프랙털 이론’과 ‘프랙털 기하학’ 등으로 발전합니다. 다양한 ... ...
- [이달의 수학자] 군론의 아버지, 에바리스트 갈루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10년 뒤 1856년 갈루아의 이론은 프랑스와 독일의 고등 대수학 교과 과정에 도입됐습니다. 이후 군론은 여러 수학자에 의해 체계적으로 기초가 다져지면서 19세기 말에는 독립적인 수학 분야로 발전하게 됐죠. 군론은 현재 수학뿐만 아니라 물리학, 화학 같은 분야에서도 응용돼 쓰이고 있습니다 ... ...
- 제국의 무덤이 된 지질학 요새, 아프가니스탄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슬람 율법에 따라 여성은 교육 기회와 경제활동을 박탈당하기까지 했다.그러나 2001년 이후 정권이 바뀌며 교육 기관이 점차 정비되기 시작했다. 이공계 출신 과학자들의 연구 기반도 다져 나갔다. 여성의 교육 기회도 생겼다. 2002년에는 카불대는 남녀 학생 모두에게 수업을 열었고, 2006년에는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