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낮의 빛
햇빛
일광
d라이브러리
"
자연의 빛
"(으)로 총 1,5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질병 치료를 극대화할 수 있다.나노기술을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은
자연의
기술을 모방함으로써 현실화되고 있다. 우리 몸이 활동할 수 있게 하는 ...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점의 크기가 사용하는 염색이 나타내는
빛
의 파장보다 작아지면 점들을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마치 우리 눈이 TV ... ...
2.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가라사대
빛
이 있으라 하시매
빛
이 있었고 그
빛
이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 성경의 창세기 ... 가득찬 혼돈의 상태였다. 여기에 하나님이
빛
을 만들고 뭍과 물을 구분한 뒤 각종 생명체를 ... 먼저 만들고 그로부터 발전적인 원리를 도입해
자연의
기획원리를 파악할 지능을 가진 인간을 ... ...
비눗방울로 풀린 난제 페르마 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불어 비눗방울을 공중에 뿌리는 놀이를 해보지 않은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무지개
빛
을 뿜는 작은 물방울의 현란한 움직임에 정신이 팔려 불고 또 불던 기억이 새롭다. 요즘 결혼식장에서 기계로 뿜어대는 비눗방울의 양에는 못미치지만, 사람의 숨을 담아 허공 가득히 비눗방울을 만들어내던 ... ...
4. 불교와 물리학의 기막힌 인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우리가 빨강색에서부터 보라색에 이르는
빛
을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이런
빛
만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우리가 ... 매우 흡사하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현대과학은
자연의
실체를 규명하기에 너무 급급한 나머지 그 전체를 아우르는 관점을 지니지 못했다. 현재의 과학이 제기하는 많은 ... ...
빛
으로 설탕물 농도 측정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필름을 통과한
빛
이 설탕물을 지나간다. ... 편광 필름을 통과할 때
빛
은 무지개 색을 보여준다. ... 당도를 확인할 때
빛
을 이용한다던데…. 혹시 ... 비커에 물을 담았을 때 불
빛
의 밝기는 왜 달라질까
빛
은 전자기파다. 전기장과 자기장이
빛
의 진행방향에 대해 ... 일정하지 않다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불안정한 원소의 원자핵이 스스로 붕괴하면서 내부로부터 방출되는 일종의 광선이다. 햇
빛
이나 자외선 같은 일종의 전자기파라는 말이다. 방사선의 종류에는 X선, 감마선, 양성자, ... 이유는 인체나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X선 등의 방사선은 광자(
빛
의 입자, photon)로 구성돼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대비책을 강구하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하면서, 한편으로는 위대한
자연의
섭리를 이해하고 극복하지 못하는 인간 지식의 한계에 회의를 느낀다. ... 심각한 문제가 될지도 모른다. 기상을 이용한 수자원 관리 기술이 더욱
빛
을 발하는 이유다.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우리나라도 기상을 이용한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사이에서 천공(天空) 아이테르와 낮 헤메라가 태어났다. 가이아는 별이
빛
나는 하늘 우라노스와 바다 폰토스를 낳았고, 가이아와 우라노스 사이에서는 하늘과 땅을 채워줄 대
자연의
존재들이 탄생했다. ”기원전 8세기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 헤시오도스가 쓴 ‘신통기’(神統記, Theogony)에 나오는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그 물질에 적당한 처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독성 물질이 유입되면
빛
을 발생하도록 유전자가 조작된 미생물이 연구되고 있다. 앞으로 미생물의
빛
을 감지해 독성을 효과적으로 탐지하는 시스템 구축도 가능할 것이다.미래 ET산업의 핵심다양한 물 재이용기술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자연조명인 햇
빛
을 사용해야 한다. 사실 햇
빛
은 가장 좋은 조명이다.
자연의
색이 햇
빛
아래에서 가장 정직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루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 고민이다.태양은 시간에 따라 위치가 변한다. 사진을 찍었다가 마음에 안들어 다시 찍으려고 하면 이미 햇
빛
의 방향이 달라진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