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처음
요람기
초창기
초대
단서
시작
d라이브러리
"
초기
"(으)로 총 3,318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따져 봐도 고정익 항공기의 장점이 훨씬 많다. 다만 활주로가 반드시 필요하다. 전쟁
초기
에 적군의 활주로만 파괴해도 승부가 끝난다는 말이 괜히 나온 건 아니다. 활주로가 없어도 이륙할 수 있고 일반 비행기처럼 빠른 항공기, 틸트로터가 나온 배경이다.틸트로터 성공은 천이비행에서 ... ...
호주, 고립되지 않은 대륙?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확인했다. 이들은 약 3만 6000년 전에 분화됐으며 모두 아프리카에서 탈출해 남하한
초기
이주민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연구를 이끈 마크 스톤킹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 유전학자는 “호주는 인간이 아프리카를 떠나서 가장 이른 시기에 이주한 사례 중에 대표적인 케이스로, 이주한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야생 돼지의 유전 정보를 분석하면 돼지의 조상은 약 350만~530만 년 전인 신생대의
초기
플라이오세(Pliocene) 때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때문인지 지금도 동남아시아에는 다양한 형태의 돼지가 많이 살고 있다.다른 지역에서도 돼지는 여러 형태로 분화했다. 동남아시아에서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화재를 감지하고 끄는 센서나 스프링쿨러, 소화기 등을 말한다(영화 ‘타워’에서는
초기
발화시 빌딩 외벽에 위치한 스프링쿨러 연결관이 추위에 얼어붙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문제는 수동적 방식은 건축법 소관, 능동적 방식은 소방법 소관이라는 데 있다. 건축법과 소방법이 균형을 이뤄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생길 수 있다. 유로파처럼 생명 거주에 적절한 환경이 될지도 모르는 것이다.행성계 형성
초기
에 관한 컴퓨터 수치모의실험에 따르면, 달 크기의 위성을 거느린 지구 크기 행성의 약 5%가 행성계에서 쫓겨난 뒤에도 위성을 여전히 유지했다. 더 나아가 이들 외톨이 행성이 장기간 지질학적으로 ...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됐지만, 누군가 먹여가며 오랫동안 살렸다는 뜻입니다.최근에는 훨씬 먼저 나타난
초기
인류 역시 이런 이타적인 행동을 했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터키 북동쪽의 나라 조지아의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인류 화석은 무려 180만 년 전에 살았습니다. 그런데 이 화석 중 일부 역시 이가 다 빠진 ... ...
PART 2 무인기와 유인기가 맞짱을 뜬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않을까.무인기 인공지능 어디까지 갈까항공기가 처음 등장한 후 일어난 제1차 세계대전
초기
공중전을 잠깐 그려 보자. 당시에는 공중에서 만난 조종사끼리 서로 눈을 흘기거나 권총을 쏘는 정도였다. 지금의 무인전투기도 공중에서 만난다면 싸울 준비가 안 된 상대를 서로 지나칠 수밖에 없다.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의대 교수는 “DNA는 우주가 시간에 대항하는 물질로 선정한 것”이라고 표현한다.하지만
초기
지구가 처음부터 DNA를 선택했던 것은 아니다.오히려 처음의 원시 생명체는 DNA 이전에 RNA를 먼저 선택했으리라는 예측이 있다.이것이 1990년대와 2000년대 초에 대중화된 ‘RNA 세계’ 가설이다.이 가설에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그만큼 많은 공격을 받은 흔적을 찾아야 한다.
초기
인류 연구를 통해 증명하기는 어려워
초기
인류와 유사한 생활을 하고 있는 아그타 족의 사냥 기록을 분석한 것이다.연구 결과 아그타 족은 뱀이나 뱀의 먹이를 사냥할 때 뱀에게 치명적인 공격을 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뱀과 먹이 경쟁을 하느라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들로 나가 야생화와 나무를 찾았다. 울릉도만 7번을 다녀올 정도라고 했다. 기록에는
초기
3년 동안의 공사와 유명 전문가의 설계만 남아 있다. 시설과장의 이름은 담당 공무원으로나 기록돼 있을까. 하지만 정말 정원이 좋아 모으고 가꾼 결과 화학연의 정원은 오늘날의 풍성함을 자랑할 수 있게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