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목성의 오로라 생성 원리 알고 보니 반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발생시킬 정도는 아니었다. 반면 연구팀은 목성의 극지역에서 자기장에 의해 전자들이
최대
400킬로전자볼트(keV)에 이르는 전위차를 만들어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목성 오로라의 생성 원리가 지구의 약한 오로라 생성 원리와 유사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행성들이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놀라운 사진들을 보내왔다. 카시니의 위대한 발자취를 되돌아봤다. 2005.01 토성의
최대
위성 ‘타이탄’에 착륙하다카시니로 불리는 토성 탐사선의 공식 명칭은 ‘카시니-호이겐스(하위헌스)’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제작한 궤도선 카시니와, 유럽우주국(ESA)이 제작한 탐사선 호이겐스가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거의 움직이지 않고, 심박수를 분당 200회에서 50회까지
최대
한 떨어뜨렸다. 이 상태에서 호흡에 필요한 산소가 공급될 때까지 과당을 분해해서 에너지를 얻었다. 가사상태에 빠지는 전략으로 저산소 상황을 버티는 포유류는 벌거숭이두더지쥐가 유일하다. 이런 전략 ... ...
자동완성으로 보는 너에게 수학이란?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세계인이 수학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용한 수단은 세계
최대
의 검색 엔진을 갖고 있는 구글의 검색어 자동완성 기능이에요. 자동완성은 사용자가 무엇을 검색할지 예측해 정보를 더 빨리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지요. 먼저 자동완성 기능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모션캡처 동작을 조금씩 변형시켜 가상의 배우들의 동작을 생성해낸다. 이를 이용하면
최대
수백 만 명까지 가상의 엑스트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임 감독은 조명기술에서도 인공지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실제로 카메라에는 수없이 다양한 경로의 빛이 한꺼번에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 지원사업의 수혜자가 되면 인건비를 포함한 연구비를
최대
3년간 지원받게 된다. 석사학위 소지자는 연간 2100만 원, 박사학위 소지자는 연간 2300만 원까지 지원된다. 이 사업에 참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로 ‘사전 매칭’ 방법이 있다. 경력단절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가진 장미 40여 종을 골라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2007년 델피니딘이 전체 색소의
최대
95%를 차지하는 파란 장미를 최초로 피우는 데 성공했다(doi:10.1093/pcp/pcm131). 하지만 ‘산토리 블루 로즈 어플로즈(SUNTORY blue rose APPLAUSE)’라고 불리는 이 장미는 파랑보다는 보라에 가깝다. 연구진 역시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게임 이론은 각 경기자들이 ‘합리적으로’ 생각한다고 가정한다. 각자 자신의 이득을
최대
화하려 애쓴다고 가정한다는 말이다. 이런 가정 위에서 경제학자들은 ‘내쉬 균형’ 즉, 각 경기자의 전략이 상대방의 전략에 대항해서 가장 높은 보수를 얻게 하는 전략들의 조합을 찾고자 한다. 왜 내쉬 ... ...
[Culture] 센서티브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본 적도 없는데 비상정지 센서라고 제때 작동할 리가 없었지. 그 도로에서 낼 수 있는
최대
속력은 시속 육십 킬로미터였어. 직접 운전을 할 때는 곧잘 잊어버리던 숫자였지. 하지만 컴퓨터는 그런 걸 잊지 않잖니. 계기판에는 60km/h라는 글자가 흔들리지도 않고 또렷하게 박혀 있었어. 그리고 그 ... ...
[Focus News] ‘살충제 계란’ 공포, 계란 계속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현재 검출된 5개의 살충제 중 플루페녹수론을 제외한 4개는 반감기가 7일 이내여서
최대
한 달이면 대부분의 성분이 몸 밖으로 빠져 나간다”며 “피프로닐과 비펜트린에 가장 민감한 영유아가 하루에 달걀 2개를 섭취한다고 했을 때도 급성 독성을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여기서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