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탄생"(으)로 총 3,90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바꾸거나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현재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를 뛰어넘는 슈퍼 인간이 탄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런 시도는, 인간 역시 자연의 다른 존재들과 마찬가지로 과학기술의 조작에 노출된 기계적 존재임을 증명한다.과연 우리는 인간을 어떤 존재로 인식해야 할까. 지금껏 그랬듯, 기계가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만들어진 신호도 지구까지 전달할 수 있답니다.또한 전파망원경을 통해서는 우주의 탄생인 빅뱅이 일어나고 38만 년이 지난 다음의 모습만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중력파는 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부터 볼 수 있답니다. 중력파는 오랜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인 셈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사실을 알아냈다. ➍ 플래닛 나인은 얼음행성한편 스위스 베른대에서 행성의 탄생과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크리스토프 모르다시니 박사는 플래닛 나인이 천왕성이나 해왕성과 매우 비슷한 환경일 것으로 가정했다. 그리고 플래닛 나인의 지름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같은 데이터를 자체 개발한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행동의 탄생에 주목한 윌리엄 해밀턴은 독학 끝에 드디어 이타성의 뿌리를 밝힐 논문을 완성한다. 이 논문은 다윈 이후 가장 혁신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윌리엄 해밀턴의 첫 논문은 1963년에 나왔다. ‘이타적 행동의 진화’라는 제목으로 학술지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에 실린 단 3쪽짜리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탄생했다. 포스트휴먼이란 전통적인 개념의 인간과 겉모습은 같지만 다른 방식으로 탄생해 소멸하는 유사인종을 일컫는다. 완전한 자율 의지를 가진 로봇이나 신체 일부를 기계로 대체한 사이보그, 혹은 유전자조작으로 태어난 인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국포스트휴먼학회에서는 다가오는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0)은 어떻게 탄생한 것일까.유전자를 전자회로처럼 설계한다Syn3.0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탄생 배경을 먼저 알아야 한다. Syn3.0을 제작한 벤터 박사는 처음부터 합성생물학에 관심이 있었던 건 아니었다. 그가 유전자를 합성하게 된 건 ‘최소유전자’를 밝히기 위해서였다. 1995년 자신이 설립한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발견한 RNA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재료인 RNA의 핵심구성요소 리보스(C5H10O5)가 우주의 성간얼음에서 탄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프랑스 니스소피아앙티폴리스대 다차원대칭선택분석학과 코넬리아 마이너트 연구원팀은 우주의 환경과 비슷한 저온(78K), 저압(10-10bar)의 실험실에서, 성간얼음의 구성물질인 물, 메탄올, 암모니아에 ... ...
- [INFO] 새 책_배경으로 숨어버린 것들에 대한 애정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하나 둘 튀어나와 와글와글 말을 걸 것이다. 인류의 필요와 욕망이 복잡하게 얽혀 탄생한 자신을 좀 봐달라고.오해 한 가지. 과학 지식을 많이 안다고 다 과학적 사고를 하는건 아니다. 언젠가 기자가 쓴 동성애 관련 과학 기사가 나간 뒤, 한 공대 교수는 “동성애는 전염된다”고 끈질기게 e메일을 ... ...
- [Career] “ 새로운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제가 만들죠”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읽고 싶은 기업들에겐 안성맞춤이었다. 파급력은 대단했다. 그렇게 빅데이터라는 분야가 탄생했다.처음에는 슈퍼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데이터 처리 방법과 빅데이터 기술에 차이가 별로 없었다. 여러 개의 장치에 데이터를 나눠 저장하는데, 이때 얼마의 크기로 자를지, 이를 처리할 서버를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1장 26절의 구절을 모스 부호로 바꾼 뒤 이를 다시 염기서열로 바꾼 작품이다. 새롭게 탄생한 염기서열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뒤 박테리아에 주입했다. 배양접시 위에 올려진 합성박테리아 위에는 자외선 등을 설치했고, 관객은 원격으로 이 자외선을 끄고 켤 수 있었다. 자외선에 의해 합성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