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별"(으)로 총 3,681건 검색되었습니다.
- [300호 기념 특별 이벤트] 인기 캐릭터를 잡아라! 어과동 GO!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어린이과학동아 300호 이벤트 페이지 - http://dev-kids.dongascience.com/event300*EVENT3 3월 15일 오후 3시 판매 OPEN - 과학동아몰 www.scimall.co.kr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쳉친 교수팀은 극저온 양자 기체를 이용해 ‘샤카로프 진동(우주배경복사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피크)’을 확인했다(doi:10.1126/science.1237557). 가까운 미래에 인플레이션 이론을 검증하는 실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인류는 뛰어난 상상력을 바탕으로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생성해 마지막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10.1007/s10068-014-0128-y). 익숙해서 잘 몰랐던, 우리 곁의 좋은 소금무엇이 한국산 천일염을 특별하게 만드는 걸까.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전남 신안군 증도의 염전지대를 찾았다. 증도에는 여의도 면적의 두 배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염전인 태평염전이 있다.우선 한국의 갯벌 천일염은 다른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먹을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차마 그 얘기는 입 밖으로 꺼낼 수가 없었다.*노마는 특별한 손님을 맞이할 준비를 했다.그는 터치 반응식 제어판을 두드리고 매만졌다. 커다란 화면에 줄을 맞춰 서 있던 곰돌이와 해바라기와 곤충의 영상이 사라졌다. 그는 제어판에 입자 프린터 설정을 입력했다.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술이 국내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빵은 대중이 아닌, 소수 사람들만 특별한 목적 하에 먹을 수 있었다.◀ 1945년 황해도 옹진에 생긴 작은 빵집.빵과 과자, 사탕을 팔았다. 3년 뒤 서울로 자리를 옮긴 뒤 점점 커져 삼립식품, 이어 SPC그룹이 됐다.따라서 국내에서는 광복 이후에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전세계가 랜섬웨어 비상에 걸렸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는 5월 12일부터 단 사흘만에 전세계 150개국 23만 여 대의 컴퓨터를 감염시켰다. 영국은 국민건강서비스(NHS)를 비롯해 16개 대형병원이 감염됐으며, 스페인의 대형 통신사 텔레포니카, 프랑스의 르노 자동차, 미국의 페덱스, 칠레의 라탐 항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끊임없이 증식해, 주위 조직을 침범하고 전이되는 것이 바로 암이다. 돌연변이 자체가 특별한 건 아니다. 돌연변이는 유전에 의해, 환경에 의해, 또 끊임없는 세포분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오류에 의해 자연스럽게 생기기 때문이다. 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일단 찾아가는 ‘빵순이’다. 이번 특집을 준비하면서 평소에는 쉽게 접할 수 없는 특별한 빵을 직접 만들어 맛을 봐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세상에서 최초로 탄생한 빵’ 말이다.빵의 고향은 지금으로부터 2000년 전, 이집트다. 기후가 따뜻하고 물이 풍부해 사람이 살기에 좋고 곡식도 잘 자랐다.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위치로 ‘라그랑주 점’을 제안했어요. 라그랑주 점은 물체가 두 천체 사이에 멈춰 있는 특별한 위치예요. 두 개의 큰 천체가 중력으로 물체들을 당길 때, 이 두 중력이 균형을 이뤄 중력의 합이 결국 0이 되는 지점이랍니다. 그래서 이곳에 있는 물체는 어느 쪽으로도 당겨지지 않고 고정돼 있어요 ...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역할을 하고 있었어요. 도마뱀은 주로 곤충을 먹고 살아요. 그런데 한정된 공간인 섬에 특별한 포식자가 없자, 도마뱀의 수는 계속해서 늘어 났어요. 결국 도마뱀은 먹이인 곤충이 부족해져서 꿀과 꽃가루까지 먹게 됐지요.놀랍게도 도마뱀은 곤충이나 새보다 약 8배나 정확하게 식물의 수분을 돕고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