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상
d라이브러리
"
한 면
"(으)로 총 2,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삼각형은 왜 영어로 'triangle'이라고 부를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의미를 가진다. 다시 말해, ‘plane’이라 하
면
평평
한
바닥
면
을 떠올리
면
된다. 그럼 바닥
면
과 수직을 이루는 것은 뭐라고 할까? 바로 ‘right’라고
한
다. ‘right’는 ‘수직의’, ‘직각의’라는 뜻을 가진다.이번에는 ‘angle’로 불리는 ‘각’에 대해 알아보자. ‘ang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오려 육
면
체를 만들기 시작했어. 육
면
체의 개념을 이해
한
뒤라 모두 실수 없이 육
면
체를 ... 거 같지만 이는 틀린 답이다. 정육
면
체의
한
변의 길이를 a라고 하
면
정육
면
체의 부피는 a³이다.
한
변의 길이가 2배가 되
면
부피는 (2a ...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추석맞이 할인행사를 어떻게 펼치느냐에 따라
한
해의 매출에 큰 차이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그럼 ...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의류 매장에서 속옷
한
개를 사
면
무료로 하나를 더 얹어 주는 경우가 흔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형 업체 중심으로 끼워팔기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 ...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인공위성 같은 추적 시스템의 성능이 좋아지
면
서 현재는 가능
한
한
신속하게 목표점에 도달하는 것을 선호해 램제트와 스크램제트 엔진이 제격이라고
한
다.“스크램제트 엔진과 램제트 엔진이 아직까지 실용화되지 않은 이유는 또 있습니다. 램제트의 핵심은 초음속으로 유입되는 공기 속으로 ... ...
맛있는 세계
면
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따라 소금이 약간 들어간다. 수타
면
에 적합
한
특별
한
밀가루가 있을까. 하지만 ... 바로 넣어 충분히 헹군다.
면
표
면
의 끈끈
한
전분을 제거하고 전분의 호화를 중단시키기 위해서다. 삶아낸 채로 방치하
면
면
에 남아 있는 열기 때문에 호화가 계속 진행돼 탄력을 ...
Part1.
면
발 맛대결 기계 vs 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가닥
한
가닥 주방장이 만드는 진정
한
수제
면
인 셈”이라고 말했다. 과연 맛은 ... 하지만 김 사장은 “이 또
한
다양
한
면
의 질감을 느낄 수 있는 도삭
면
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기계로는 만들 수 없는 재미와 식감이 도삭
면
에 숨어 있는 또 다른 맛인 셈이다.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보이지 않는다.이런 광학의
한
계는 전자현미경이 발명되
면
서 상당부분 해소됐다. 드브로이의 ... 으로 확인
한
결과 나노렌즈는 완벽
한
구의 곡
면
에서 3%도 벗어나지 않아 표
면
이 불규칙
한
정도가 1nm 이하였다. 유리를 깎아 이렇게 정밀
한
나노렌즈를 만드는 일은 ...
면
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정도로 밀은 곡물 중 가장 넓은
면
적을 차지
한
다. 연간수확량도 2007년 현재 6억 70 ... 성질도 그 중간인 셈이다.다양
한
면
류를 생산하고 있는 풀무원의 식문화연구원 조중건
면
팀장은 “글리아딘의 길게 늘어나는 성질과 글루테닌의 힘이 합쳐져야 쫄깃
한
식감이 나온다”며 “밀가루로 ...
노벨상 꿈꾸는 삐에로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부딪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려
면
논리성과 창의성이 필요
한
데, 수학만큼 이걸 기르는 데 좋은 ... 줘야 합니다. 좋은 대학교에 가려
면
해야
한
다? 이런 말은 어린이들에게는 통하지 않습니다. 수학이 어떤
면
에서 굉장히 중요하고 수학을 함으로써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잘 알려 줘야 합니다. ... ...
수학이 즐거워지는 마법퍼즐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연결체와 연결봉을 연결해서 다양
한
다
면
체(
면
이 다각형인 입체도형)을 만들 ... 있어요. 또 교과서에 답을 써 버리
면
한
번밖에 못 풀잖아요? 그런데 퍼즐의 경우는 숫자만 바꿔 끼우
면
되니까 여러 답을 구해 보게 돼요.학생들이 직접 퍼즐을 보고 만지고 생각하
면
사고력도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