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뉴스
"
관찰
"(으)로 총 4,662건 검색되었습니다.
4년만에 열린 전세계 과학영재들 축제...환경에 초점 맞춘 연구 쏟아져
2023.07.03
받았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리호이 힘 군(16, 홍콩 GT컬리지)은 "새로운 물질을 만들거나
관찰
하는 화학자가 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연구 발표회를 관리한 권창섭 KSA 생물학 교사는 "학생들이 연구 자체를 즐기는 진정한 과학자로 자라 국가의 핵심 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암흑물질' 찾아 우주의 비밀 풀 '유클리드 우주망원경'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7.02
탐구되지 않은 '미지의 힘'으로, 우주의 팽창을 가속화하는 힘으로 추정된다. 암흑물질은
관찰
가능한 물질의 작용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우주의 중력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다. 액시온, 윔프 등이 암흑물질의 후보로 거론됐으나 정확히 관측되거나 밝혀진 바는 없다. 과학자들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녹색 형광빛으로 보는 DNA 접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23.07.01
정교한 3D 아키텍처’라는 논문을 21일(현지시간) 네이처에 발표했다. GFP는 형광을 발현해
관찰
을 하기에 용이한 물질로, 독성이 없다는 점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사할 때 많이 사용한다. RNA 분자는 매듭을 만들고 풀며 스스로 복잡한 3D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반면, DNA 분자는 ... ...
전 세계 호수 절반이 말라간다
과학동아
l
2023.07.01
추세는 건조 기후대는 물론 열대와 극지방을 포함한 습윤 기후대에 속하는 호수에서도
관찰
됐다. 반면 북아메리카 중부 대평원 지대와 티베트 고원 지역을 포함한 24%의 호수에서는 물 저장량이 증가했다. 연구팀은 호수 수위가 변동하는 이유로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을 꼽았다. 기온 상승으로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뿐만 아니라 노화과정에 줄어든 시냅스 숫자 및 신경세포 구조 퇴행도 회복된 것으로
관찰
되었다. 마치 뇌만큼은 ‘회춘’한 것처럼 보였던 것이다. 이 연구결과가 아직 동료심사 진행 중이므로 Gαq를 잘 활용하면 노화성 기억 감퇴를 극복할 수 있다고 결론내리기에는 이르지만 최소한 모델생물을 ... ...
유령 입자 '중성미자' 우리은하에서 첫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약 80개의 중성미자가 검출됐다. 하지만 정작 가까운 우리은하에 있는 중성미자는
관찰
되지 않았다. 우리은하에서 온 우주선(우주에서 지구로 내려오는 고에너지 입자선)이 대기와 충돌할 때 나온 입자가 중성미자 신호를 가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그동안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성모병원, 악성 뇌종양 '교모세포종' 생존 예후인자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연구팀은 종양에서 낭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RI 검사에서
관찰
된 낭의 유무에 따라 낭성군 및 비낭성군으로 분류해 어느 군이 더 좋은 예후를 보이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2008년 8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교모세포종을 진단받은 모든 환자들의 기록을 ... ...
금성 기후변화 비밀 연구, 한국 연구자가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동시다발적인 관측을 수행하는 이유는 미확인 흡수체가 흡수하는 모든 파장 영역을
관찰
하기 위해서다. 베피콜롬보와 아카츠키는 자외선 영역에서 금성의 전구에서 반사되는 태양 빛을 관측할 계획이다. 지상 망원경은 이보다 더 긴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을 관측한다. 캠페인을 통해 얻은 모든 ... ...
줄기세포 배양 인간배아 '14일 이상 금지' 논란 '가속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6.30
조작된 줄기세포 2개를 결합하는 방식을 취했다. 자연적으로 형성된 배아에서 이 시기에
관찰
되는 활동을 재현하기 위해 특정 유전자의 능력을 극대화했다는 것이다. 난자와 정자가 아닌 줄기세포를 사용한 이유는 ‘14일 룰’을 피해가기 위해서다. 각국의 인간배아 관련법은 정자와 난자의 수정을 ... ...
잠자는 동안 꿈꾸며 보호색 바꾸는 문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29
문어가 여러 단계의 수면 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을 확실히 입증하기 위해 뇌 활동을
관찰
하는 실험도 이어졌다. 연구팀은 바늘 모양의 전극을 문어의 뇌에 삽입한 뒤 뇌 신경세포들이 주고 받는 전기화학적 신호인 국소장전위(LFP) 신호를 분석했다. 그 결과 얕은 잠을 잘 때는 깨어있을 때와 유사한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