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뉴스
"
다른점
"(으)로 총 5,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의학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의 몸을 연구하고 관리하는 학문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의학이 과학이라고? 의학은 생물체(사람)를 대상으로 하므로 물리나 화학법칙과 다르게 때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기도 한다는 이야기는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라는 글에서 이미 ... ...
공공기관 지정해제 과기원…해외석학 유치 길 열렸다
2023.01.30
4대 과학기술원 중 하나인 대전 유성구 KAIST 전경. KAIST 제공 정부가 KAIST 등 4대 과학기술원을 공공기관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자체 기준에 따라 채용절차를 진행할 수 있고 지출 비용 운영 제약이 사라지는 등 과기원의 자율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별도 관리방안에 ... ...
"우주를 손끝으로 탐험"...국내 첫 NASA 점자촉각도서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제작한 점자촉각도서. 달의 표면이 3차원으로 제작돼 있다. 이영애 기자 yalee@donga.com 두툼한 책을 펼치면 하얀색 종이 위에 오돌토돌한 달 표면이 표현돼 있다. 눈을 감고 손끝으로 달 모양을 따라가다 보면 깊은 달 분화구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아폴로 우주선 착륙 지점 ... ...
‘1000조 분의 1초' 나노입자 찰나의 변화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펨토초 수준 이미징 기법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권오훈 UNIST 교수, 김예진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원, 노학원 UNIST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1000조 분의 1초’ 동안에 일어나는 찰나의 변화를 직접 관측하고 제어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법을 구현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01.28
나노 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도구가 발전해 아주 작은 입자의 모양을 볼 수 있다. 과학동아 DB 김일두 KAIST신소재공학과 교수가 메모지에 동그라미 하나를 그리며 물었다. “이건 (나노) 입자인가요?” 기자가 대답했다. “네 입자처럼 보입니다.” 그러자 김 교수는 포켓몬스터의 메타몽처럼 생긴 ... ...
[주말N수학]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1.28
DART 미션의 전체 콘셉트를 묘사한 일러스트. 수학동아 DB SF영화에나 등장할 것 같은 이야기지만 2013년 2월 실제로 지름 17m 소행성이 러시아 첼랴빈스크주 하늘에서 폭발해 운석우들이 땅에 떨어지고 그로부터 16시간 뒤 지름 45m의 소행성이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비껴갔습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피에 대한 속설은 역사가 오래됐다. 원시 인류는 피를 많이 흘리면 죽어가는 동료와 주변 동물을 보면서 피 속에 생명력이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피에 대한 인류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오래된 기록은 성경에서 피를 마시지 못하게 하는 계율을 기록하거나 최후의 ... ...
우주 비밀 밝혀주던 제임스웹우주망원경 또 고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NASA 제공 NASA는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 등과 함께 허블우주망원경(이하 허블)의 바통을 이어받을 차세대 우주망원경으로 1996년부터 JWST를 개발했다. ‘제임스웹’이라는 이름은 1960년대 NASA가 인간을 달에 보낸 ‘아폴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당시 국장인 제임스 웹의 이름을 땄다. 인류 ... ...
"소행성 이토카와, 절반은 빈 공간"
동아사이언스
l
2023.01.24
소행성 이토카와. 커틴대 제공 돌무더기 소행성 이토카와가 태양계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결이 밝혀졌다. 단일 암석덩어리로 구성된 소행성과 달리 내부가 빈 엉성한 쿠션 형태라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소행성이 지구를 향해 돌진할 경우 새로운 방어 전략을 설계할 수 있을 전망이다. ... ...
과학자들이 손을 안 씻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1.23
과학적 발견은 우연히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사카린, 수크랄로스, 시클라메이트 등 단맛을 내는 물질은 과학자들의 실수로 우연히 발견됐다. 게티이미지뱅크 과학적 발견은 우연한 계기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연구의 필수 덕목인 청결을 지키지 않거나 의사소통에 오해가 생겨 본의 아니게 새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