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뉴스
"
보고
"(으)로 총 10,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무처럼 늘어나는 QLED 소자 개발…1.5배 늘려도 화질 그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6.2V로 신축성 퀀텀닷 발광소자 중 가장 밝고 효율적이다. 이전까지 가장 우수하다고
보고
된 2022년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휘도 7450니트, 구동 전압 15V였다. 소자는 양옆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져도 기계적 손상이나 발광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았다. 최대 1.5배까지 늘려도 ... ...
멸종위기 생물 보호 위한 유전자 교정 등 인위적 개입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주장이다. 이에 대해 수넉스 연구원은 유전자 구조와 관련된 위험은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17년부터 호주에서 실시된 벌새 교배 프로그램에선 벌새 아종 간 교배가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벌새 간 교배보다 더 많은 독립성 강한 새끼를 낳았다는 이야기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유전자를 ...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 '제5회 시험·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 콘텐츠 공모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또는 3인 이하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영상-일반, 영상-숏폼, 카드뉴스, 포스터, 안전실천
보고
서 등 5개 분야에 맞춰 ‘시험·연구용 LMO 안전’과 연관성이 있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제작해 응모하면 된다. 접수는 6월 30일까지 ‘시험·연구용 LMO 정보시스템’에서 가능하다. 11월 총 37점이 선정돼 ... ...
지자체도 위성 쏘는 시대 본격화...전문가들 "득실 잘 따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늘리고 정책 수립에 필요한 데이터를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얻을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 해양감시·데이터 통신 등 자체 위성 발사 '열기' 부산샛은 지난 2020년 정부와 시 예산 182억원이 투입된 사업이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공모 지역발전투자협약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개발이 ... ...
잠실 롯데월드타워가 수원에서도 보이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4.13
멀리 뾰족한 세모 모양이 하나 보입니다. ● 가도 가도 커지지 않는 건물이 있다?! 한참
보고
나서야 작은 세모 모양이 서울 잠실에 있는 롯데월드타워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롯데월드타워는 높이가 무려 555m로 만들어진 지 8년이 된 지금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건물로 꼽힙니다. 워낙 우뚝 ... ...
[人투더스페이스]① "우주항공청이 강력하고 일관된 비전 제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않겠다고 생각했다. 그때 뉴스에서 국내 위성이 우주에서 충돌 위험이 있었다는 뉴스를
보고
우주쓰레기의 문제점을 인식했다." Q. 우주쓰레기 해결 방안을 어떻게 생각해 냈나. "우주쓰레기가 정말 문제인지 확인하기 위해 2017년을 전후로 미국 실리콘밸리와 워싱턴DC 등을 돌아다니며 연구기관과 ... ...
잘때 수집한 생체 데이터가 스트레스 '바로미터'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등을 종합 분석하면 스트레스와 연관된 더 많은 바이오마커를 식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향후 모든 데이터를 조합해 개인별 스트레스 해소 전략을 개발할 예정이다. 블룸필드 교수는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려면 생체 변화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실시간으로 ... ...
흘러가는 생각 속 긍정·부정 감정 읽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이야기 속 단어에 대해 순간순간 자신이 느끼는 자기 관련도, 긍·부정 정서를
보고
했다. 수집된 49명의 데이터는 자기 관련도와 긍·부정 정서 점수에 따라 다섯 개 수준으로 분류됐다. 연구팀은 각 수준에 따른 뇌의 활동 패턴을 머신러닝으로 학습시켜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예측 모델은 새로운 ... ...
젊어진 ‘미세아교세포’로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치우는 탐식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신경염증 및 뇌인지 기능 장애가 유도된다는 결과가
보고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체 및 약물 전달 기술의 부재로 세포 기능 연구에 한계가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나노입자가 미세아교세포에 높은 효율로 섭취된다는 ... ...
소변 자주 마렵다면 '앱 기반 치료' 도움 될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골반저를 강화하는 훈련은 임상지침을 통해 소변을 자주
보고
싶은 충동 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권장되고 있지만 환자가 해당 훈련을 잘 따르기 쉽지 않다. 앱 기반 치료를 시행하면 골반저 운동에 대한 실천력이 높아지면서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