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뉴스
"
풀
"(으)로 총 1,164건 검색되었습니다.
멈추지 않는 에너자이저, 열정으로 새로운 꿈을 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2.29
박사학위를 취득하겠다고 약속했고, 결국 그녀는 교수로 채용됐다. 그리고 약속대로
풀
타임 근무를 하면서 고려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마쳤다. 그녀의 아버지는 무척 좋아하시며 당신의 법학박사 학위와 그녀의 전자공학박사 학위를 나란히 걸어 놓았다고 한다. “교수는 박사학위가 당연히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또 있습니다. 바로 상고대입니다. 상고대는 추운 날씨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나무나
풀
에 얼어붙어서 생긴 얼음꽃을 말하는데요. 동아일보 22일자 A13면에는 한파가 소양강에 상고대를 만들었다는 소식이 멋진 사진과 함께 실렸습니다(사진). 또 한파 때문에 곳곳에 빙판길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는 ... ...
[2014 올해의 여과학기술자상] 직격 인터뷰
2014.12.19
덕을 톡톡히 봤다. “미국에서는 영유아를 위한 탁아소도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
풀
타임’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런데 국내 환경은 그렇지 않더군요. 오후 3시에 끝나기도 하고 휴일도 많아요.” 그는 이화여대 전자공학과 교수진 가운데 유일한 여성이다. 전자공학이라는 학문의 특성상 ... ...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
2014.12.05
들러붙는 천연단백질 ‘노로글루(Noroglue)’다. 노로글루는 ‘노로바이러스에 딱 붙는
풀
(glue)’이란 뜻으로 호남 특산물인 작두콩에 많이 들어 있다. 연구진이 김두운 전남대 교수팀, 최종순 기초연 책임연구원과 공동으로 2년 연구 끝에 찾아냈다. 노로글루를 담은 용기에 노로바이러스를 ... ...
‘포악한 거대 육식공룡’ 수각류에 대한 3가지 오해
동아사이언스
l
2014.11.27
잡식공룡으로 밝혀졌다. 그동안 거대한 앞발 때문에 흉포한 육식공룡으로 추정됐지만
풀
을 소화시킬 때 쓰는 것으로 알려진 위석 1400개 정도가 공룡의 화석과 함께 발견됐다. 또 마지막 먹이로 보이는 물고기의 잔해도 화석으로 나왔다. 거대 수각류인 테리지노사우루스 역시 잡식 공룡으로 ... ...
맥가이버를 보고 과학자를 꿈꾸던 소녀
동아사이언스
l
2014.11.27
의욕이 없는 것 같아 저도 지치곤 하죠.”라며 멘토링의 고충을 말한다. 이런 단점을
풀
수 있는 해답을 찾았다. 바로 직접 멘티를 찾는 것. 그녀는 “학교 후배들 중 멘티를 직접 모집해 그들이 관심 있는 분야를 최대한 알아보고 제가 도와줄 수 있는 방법도 열심히 찾아봤어요. 이런 방법으로 ... ...
日도 우주 생명기원 찾기… 소행성 탐사선 30일 발사
동아일보
l
2014.11.26
있다. 소행성 암석에서 아미노산을 발견해 양쪽 유형의 비율을 조사하면 이 수수께끼를
풀
수 있다고 과학계는 기대하고 있다. 특히 소행성은 태양계가 탄생한 즈음의 잔해로 당시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도쿄=배극인 bae2150@donga.com·박형준 특파원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 ...
초고화질(UHD) 다음은
풀
초고화질(UHD)
2014.11.25
전자를 다시 흐를 수 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김 박사는 “이제 초고화질급을 넘어
풀
고해상도(lHD)의 16배 정도인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NPG 아시아 머티리얼즈’ 14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UHD TV로 생방송 가능해졌다
2014.11.19
UHD TV나 스마트폰 등에 영상을 압축·전송하기 위한 국제표준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풀
HD에 쓰이는 ‘H.264/AVC’보다 데이터 압축 효율이 2배 정도 우수해 같은 수준의 영상 화질을 데이터 용량은 절반으로 줄여 전송할 수 있다. ETRI는 이번에 개발한 인코더를 신호 입력에서부터 송출까지 ... ...
그는 어떻게 50년 공룡 미스터리를
풀
었나
2014.10.23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이번 성과에 대해 이 관장은 “공룡학계의 미스터리를
풀
주인공이 될 것이라고는 전혀 상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2006년 한국-몽골 공룡탐사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막연히 신종을 발견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3년 뒤 한 지층에서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