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56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지식IN]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보툴리누스균이 만든 독소는 입자가
큰
편이어서 수유부가 꿀을 먹었어도 그 성분이 모유로 전달되지 않는다고 한다. 보툴리누스균의 포자는 열에 매우 강해 100℃에서 6시간 이상 가열해야만 죽일 수 있다. 가정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꿀 속 ... ...
“토성의 달 ‘엔켈라두스’에 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엔켈라두스는 목성의 위성 유로파와 함께 액체 상태 바다가 있을 가능성이 가장
큰
천체로 꼽혀 왔다. 엔켈라두스 표면은 40km 두께의 얼음층으로 뒤덮여 있지만, 그 아래에 액체 상태로 이뤄진 수심 10km가량의 바다가 존재하리란 예측이다. 실제로 2005년 카시니는 엔켈라두스 남극에서 물기둥으로 ... ...
창의력은 25세에 정점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스티브 잡스도 25세에 각각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의 최고경영자였다. 이들이 25세에
큰
업적을 이룬 것이 ‘우연’일까. 사람이 가장 창의적으로 행동하는 나이가 25세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니콜라 고브리 프랑스 고등연구실습원 연구원 팀은 4세에서 91세까지 34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험에서 ... ...
‘싱크홀’ 미리 알 수 있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지나갈 수 있지만 자동차의 바퀴가 빠지거나, 인도 근처라 사람이 빠질 수도 있을 정도로
큰
싱크홀이라면 그냥 넘어가기 어렵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이런 싱크홀을 미리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하수관로를 조사하는 CCTV 조사 장비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이대영 ... ...
독도는 해양무척추동물의 ‘천국’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다양한 해양무척추동물들로 풍성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검은
큰
따개비(첫번째 사진), 거북손(두번째 사진), 비단군부. - 김종성 교수 제공 독도 주변 해역의 해양생물 생태계가 세계적 수준의 생물 다양성을 지닌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팀은 독도에 사는 ... ...
[카드뉴스]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동아사이언스
l
2017.04.13
학교든 회사든 개인에게 맞는 시간대에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 사회적으로도
큰
이익이 될 겁니다. 속담부터 바꿔야겠죠. “일어나고 싶을 때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잘 잡는다.” - 참고: 과학동아 2013년 07월호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 ... ...
천운을 타고난 사람들
팝뉴스
l
2017.04.12
게 천운이다. 다른 사람은 못을 밟았다. 상당히 크고 녹도 슬었다. 제대로(?) 밟았다면
큰
상처가 났겠지만 못은 피부의 외피에 살짝 꽂혔다. 행운 중의 행운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사진 속 사람들이 “하늘이 내린 행운”을 누렸다면서 놀라워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미술 작품을 능가하는 아트 케이크
팝뉴스
l
2017.04.12
판매점 및 교육 기관인 ‘토르틱 아누쉬카’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에 공개해
큰
주목을 받은 이미지들이다. 건축물을 모티브로 삼은 것이 많다. 추상화를 연상시키는 케이크도 보이고 앤디 워홀과 피트 몬드리안 등 유명 예술가의 작품을 케이크로 모사하기도 했다. 해외 네티즌들은 케이크를 ... ...
산불을 두려워하지 않은 모성애
팝뉴스
l
2017.04.12
존재를 갖고 있는 게 어미 혹은 엄마다. 불길속에 있기를 선택한 어미 새의 모성 본능이
큰
울림을 준다. 어미 새의 희생이 보람이 없어 마음이 아프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 ...
원자력硏, ‘안전’과 ‘소통’ 강화를 위해 조직개편 단행
동아사이언스
l
2017.04.11
4개였던 보직은 111개로 무려 33개 줄었다. 106명의 보직자가 새로운 임무를 받았다. 가장
큰
변화는 ‘안전관리본부’와 ‘소통협력본부’의 신설이다. 원자력안전방호단이 승격한 안전관리본부는 원자력 안전과 관련된 모든 상황을 총괄 관리하는 역할을 맡는다. 소통협력본부는 원자력 ... ...
이전
1027
1028
1029
1030
1031
1032
1033
1034
10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