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성마비 환자 보행재활 돕는 로봇 재활법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이송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닉스연구단 선임연구원팀은 뇌성마비 환자 상태를 파악해 로봇을 이용해 관절을 풀어주고 보행 ... 관련 정밀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9일 국제
학술
지 ‘전기전자공학회(IEEE) 신경시스템과 재활공학’에 실렸다 ... ...
'삼성 지원' 차세대 소재부품 연구, 국제
학술
지 잇단 게재
연합뉴스
l
2019.09.24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지원을 받은 차세대 부품·소재 연구과제가 최근 세계적인
학술
지에 잇따라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삼성에 따르면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이경진 교수 연구팀이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차세대 자성반도체(MDW-MRAM)의 소비전력 절감 기술이 최근 '네이처 ... ...
고양이도 개만큼 주인 잘 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못한다는 통념과 달리 인간 아기나 개와 비슷한 애착 관계를 형성한다고 이달 23일 국제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애착은 양육자나 특별한 사회적 대상과 형성하는 친밀한 정서적 관계를 뜻하는 심리학 용어다. 애착 이론에 따르면 인간 아기는 3세 내로 보호자와 안정 애착과 ... ...
염기 하나 콕 집어 바꾼다…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 새 기능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농축산물 품종을 개량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온라인판 24일자에 실렸다. 국내 연구팀이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의 새로운 기능을 밝혀냈다. 왼쪽부터 김진수 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 배상수 한양대 화학과 교수, ... ...
강아지 구충제로 암 치료? 약사회·정부 "검증되지 않은 약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학술
지에 유방암 쥐 모델에 펜벤다졸을 투입했을 때는 효과가 없다고 발표했다. 같은
학술
지에서도 펜벤다졸의 효과를 두고 연구결과가 엇갈린 것이다. 오히려 동물실험에서 암을 촉진한 사례도 있다. 일본 연구팀은 1999년 ‘독소병리학’에 펜벤다졸이 쥐 실험에서 간암을 촉진하는 것으로 ... ...
유전자 발현 억제하는 마이크로RNA의 표적 예측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남진우 한양대 생명과학과 교수(왼쪽)와 황정욱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교수(오른쪽) 공동연구팀이 마이크로RNA가 유전자를 조절하는 새로운 과정 ... 조절해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3일자에 소개됐다 ... ...
나노과학·의학 분야 국제 석학들 한국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기술의 전문가 워렌 찬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등이 참석한다. 부대행사로 ACS 편집자들의
학술
출판, 초록 작성, 피어리부 강의도 마련돼 있다. 김영덕 IBS 원장 직무대행은 “IBS를 매개로 해외 석학과 국내 학계의 연계가 강화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비싼 ‘이리듐’ 적게 사용해 전기분해로 수소 얻는 고효율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백종범 UNIST 교수(왼쪽)와 이번 연구를 주도한 펑리 연구원.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얻는 데 쓰이는 백금 촉매보다 효 ... 효율과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이점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9월 6일자로 게재됐다 ... ...
DGIST, 학부생 연구성과 교류의 장 펼쳐
동아사이언스
l
2019.09.23
주도적으로 이끈 류태승 총학생회장은 "학부교육의 일환인 UGRP(학부공동연구프로그램),
학술
소모임 등의 성과를 공유한 첫 행사"라며 "구성원 간 활발한 상호토론문화를 형성하고자 이번 행사를 주도했다"고 밝혔다. 이기준 DGIST 융복합대학장은 "DGIST 학부교육의 우수성과 학생들의 우수한 역량을 ... ...
네안데르탈인 멸종은 중이염 잦은 귀 구조 탓
연합뉴스
l
2019.09.23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스타키오관(管)을 복원해 분석한 연구결과를
학술
지 '해부학 기록(The Anatomical Record)' 온라인판에 실었다. 유스타키오관은 코의 뒤쪽 부분인 비인강과 가운데귀(中耳)를 연결해 가운데귀와 바깥귀의 압력을 같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인류학자와 ... ...
이전
1029
1030
1031
1032
1033
1034
1035
1036
10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