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 물위에 물 쌓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가두어 두려면 이만한 정성은 들여야겠죠?설탕의 양에 따라 밀도가 달라진다는 사실,
바로
이것이 물 위에 물을 쌓아 무지개 물탑을 만들 수 있게 하는 열쇠랍니다. 밀도는 액체만 가질 수 있는 성질이 아닙니다. 고체 기체 모두 밀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고체 액체 기체의 밀도를 비교해 보면 ... ...
물리- 대기압 이용한 요술 여섯가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있다. 손에 물을 적시지 않고 동전을 꺼낼 수 있을까? 보통의 병 안에서 솜을 태운 후
바로
물이 담긴 접시 안에 거꾸로 세우거나 플라스크에 물을 넣고 가열한 후 물을 제거한 플라스크를 접시 안에 거꾸로 세우면 물이 서서히 병이나 플라스크 안으로 빨려 올라가게 돼 물을 묻히지 않고 동전을 ... ...
CD·LD의 작동원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있을까에 초점을 맞추어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는 달리 말해 인간의 역사가
바로
커뮤니케이션의 역사라는 말이다.일반적으로 '소식'을 통신공학에서는 신호(signal)로, 신호중에서 유용한 것을 정보(information)라 부른다. 특정의 소식이 어떤 사람에게는 유용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전혀 ... ...
PART.1 CD-ROM, 이렇게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역사시대의 주역이었던 종이의 운명이 다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한데, 새로운 시대는
바로
CD-ROM이라 불리는 작은 원반속에 담겨지고 있다.CD-ROM이란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약자로서 제작과정에서 기록된 내용이 영구적으로 지워지지 않게 처리된 디스크를 의미한다. 띠라서 이 디스크에 들어있는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덜컹거리거나 불안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혹자는 물체를 떨어뜨려 보아서 똑
바로
떨어지면 정지해 있는 것이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떨어지면 움직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은 가속운동하는 물체에서나 일어나는 현상이지 등속으로 움직이는 물체에서는 그렇게 되지 않는다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높은 빈도로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 돌연변이율이 높은 점이
바로
바이러스 진화의 원동력이고 이것이 오히려 숙주의 면역기구와 싸울 때의 무기가 될 것이다.가령 에이즈바이러스를 보자. 이 바이러스는 모든 유전자에 대해 극히 높은 돌연변이율(숙주DNA의 약 1백만배의 ... ...
(2) 가상 연주장·청중 입력 실제와 꼭같은 음향테스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위해 실제 운전자에게 술과 약을 먹이는 일은 불가능하다. 이를 대신하는 장치가
바로
운전 시뮬레이터다.또한 체험이나 오락용 시뮬레이터의 한 종류인 '스페이스 월드'는 체험형 레저시설이라고도 불리는데, 이곳에서는 미리 프로그램된 과정을 시뮬레이터로 즐기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관객의 ... ...
(3) 로봇원격조종 앉아서 심해·달 탐사 가능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멀리 떨어져서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대안으로 개발중이다.이 시스템에
바로
로봇에게 지능을 부여해 인간과 비슷하게 움직일 수 있는 팔을 가진 원격 로봇(telerobot)이다. 이러한 로봇을 먼거리에서 조종함으로써 마치 자신이 직접 작업을 하는 듯한 착각이나 자신이 그곳에 실제로 ... ...
4. '혼돈의 언어' 프랙탈이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연구와 무한히 복잡한 형상에 대한 탐구에서 어떤 지적 교차점을 발견했는데 그것은
바로
코흐 곡선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은 자기유사성(self-similarity)이다.한때 자기유사성은 자연 현상을 해석하는 강력한 도구로 등장해 인간의 심장구조, 해안선의 모양, 은하계의 모습 등을 설명하는데 이용됐으나 ... ...
별 진화론 대폭 수정 돼야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멈추지만 바깥층은 계속 파열된다. 수초 내에 충격파가 외부로 방출되는데 이것이
바로
초신성폭발이다. 태양질량의 30배보다 무거운 별은 너무 무거워 핵붕괴를 계속한다. 바깥층이 외부로 폭발을 일으킬 단단한 껍질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폭발도 없다. 블랙홀이 탄생하는 것이다. 표준이론에 ... ...
이전
1033
1034
1035
1036
1037
1038
1039
1040
10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