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길
길거리
거리
도로
나비
너비
폭
d라이브러리
"
가로
"(으)로 총 1,50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철기둥 엘리베이터 타는 마징가Z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직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격납고 깊이는 50m 안팎이 됐다. 격납고 지붕이 활짝 열리면
가로
세로 각각 8m의 구멍이 생긴다.지금 건설기술로 이 정도 구덩이를 파는 작업은 어렵지 않다. 훨씬 더 깊게 파는 작업도 많다. 다만 구덩이를 팔 때 옆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판타지영업부는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장착되었다 최대 해상도 6백40×2백에서 16색을 사용할 수 있다문자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가로
세로 도트의 수를 말한다 CGA의 경우 8×8을 사용하며, VGA는 8×16을 사용한다픽셀의 크기 대개 작은 도트 피치를 가진 모니터의 해상도와 선명도가 훨씬 앞선다최대 6백40×3백50해상도에서 64가지 컬러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따라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해 시간과 날짜를 구분해낸다.06시간표시장치 :
가로
로 놓인 톱니가 시계 회전축 톱니와 맞물려 일정하게 돌면서 시간을 나타낸다.시간과 공간이 결합하다서양의 기계 시계들은 중국을 거쳐 조선에도 전래됐다. 당시 조선에서는 해시계와 물시계를 사용해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이식거부현상이라고 부른다건축용어의 하나 출입구나 창 등의 개구부(開口部) 위에
가로
놓여 벽을 지지하는 나무 또는 돌로 된 수평재(水平材)를 말한다 따라서 인방의 형식이나 사용되는 재질은 건축의 구조와 용도에 따라 다르다양방향 통신이라는 교환기를 갖추지 않은 사설 시스팀으로 보통 ... ...
휴대전화는 디지털 블.랙.홀.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03 회로
가로
열과 세로열의 신호선으로 이뤄진 매트릭스 구조다. 키를 누르면 특정
가로
열과 세로열의 신호선이 접촉해 어떤 키를 눌렀는지 알 수 있다.마이크음성 신호를 인식해 전기 신호로 바꾼다. 주로 콘덴서 마이크 사용. 목소리(음파)에 의해 2개의 진동판 중 하나가 떨리면 둘 사이의 축전 ... ...
4. 쇼트트랙 계주처럼 밀어주기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공을 마음대로 다룰 수 없도록 좁은 공간에서 여러 명이 동시에 방어하는 전술이다.
가로
100m, 세로 64m인 축구장에서 두 팀의 선수가 골고루 섞여 있고 상대선수 한 명이 공을 잡은 경우 우리 팀 선수가 가장 가까이 있다고 가정하자.우리 선수가 공을 막으러 가는 시간은 선수들 간 평균거리를 우리 ... ...
63빌딩을 벽돌처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위에 제올라이트를 한 겹으로 깔거나 육각형 모양의 제올라이트를 세로로 세우거나
가로
로 눕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배열하는 일이다. 제올라이트를 판 위에 붙이기 위해 풀러렌, 단백질, DNA 등 다양한 물질을 접착제로 사용한다. 아름답게 맞춰선 제올라이트2003년 8월 윤 교수는 미세 물질을 잘 ... ...
LCD 월드컵에서는 한국이 우승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경기가 카메라 10대로 중계되는 것과 비교하면 더욱 실감나는 관전이 기대된다.그러나
가로
세로 비율이 4:3 비율인 구형 TV라면 상황이 달라진다. HBS는 16:9 비율의 와이드 화면으로 시청자를 찾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16:9 비율의 영상이 4:3 비율의 TV로 옮겨지면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 화면이 잘린다. ... ...
1. 중력 이기며 공중전으로 승부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조명이 필요하다. 까만 하늘을 배경으로 공중에서 방방 뜨며 슛을 때리고 중간에 공을
가로
채는 선수들이 인상적이다. 골대 징크스는 통계적 결과‘골대를 맞히는 팀은 진다’는 속설은 오래 전부터 축구계에 전해 내려온 징크스다. 2002 한일 월드컵대회에서 프랑스는 본선 조별 3경기에서 5차례나 ... ...
날씨가 척척 디지털 예보 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강수량, 바람 등을 3시간 간격으로 이틀 뒤까지 인터넷으로 알려 주는 서비스다. 전국을
가로
·세로 5㎞의 바둑판 모양으로 촘촘히 나누어 3만 7000여 개의 지점에 대해 예보한다. 인터넷에 접속만 하면 읍, 면, 동으로 세분화된 일기예보를 보며 내가 사는 동네의 날씨 까지 알 수 있다.통보관에서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