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세
역설
액센트
오름세
힘
중점
강요
d라이브러리
"
강조
"(으)로 총 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아름다운 베르네~ 맑은 시냇물이 넘쳐흐르네!새빨간 알핀로제스, 이슬 먹고 피어 있는 곳~다스 오버랜야 오버랜~ 베르네 산골 아름답구나!다스 오버랜야 오버랜~ 나의사랑 베르네~ ... 시작(It’s in your hand!)’을 인용하며 바다의 근원을 지키기 위해 모두가 노력해야한다고
강조
했다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0분 동안 반응시켜 도토리 모양의 나노 캡슐을 만들었다. 사진은 원래 흑백이지만 모양을
강조
하기 위해 색을 입혔다. 고동색부분은 황화구리가 상대적으로 더 많고 초록색 부분은 황화인듐이 많다. 같은 온도라도 반응시간을 늘리면 도토리의 모양은 점점 길어진다. 반응온도와 시간을 조절하면 병,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관측해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조직과 문화를 소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고
강조
했다. 설사 환단고기가 다른 기록을 베꼈다고 해도 고조선이 건재했다는 사실은 당연히 영향을 받지 않는다.그는 고조선이 건재했다는 사실이 천문학적으로 증명된 이상 그 이전의 배달국 역시 실재했을 것이라고 ... ...
2012 빛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중요하지. 가까이 가서 구경 한 번 해 볼까?역광인물 뒤에서 들어오는 빛으로, 실루엣을
강조
해 후광과 같은 테두리를 만들어 인물이 돋보이게 한다.톱라이트인물 바로 위에서 오는 빛으로 주로 넓은 무대에서 인물의 위치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측광인물의 측면을 밝게 하고 입체감을 표현한다. ... ...
[정보] 겨울방학, 수학곰 퇴치 대 작전!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크게 다른 점은 여러 가지 약속을 기호로 정해 사용한다는 점이에요. 원리와 법칙이 더욱
강조
되기도 하고요. 특히 첫 단원 ‘집합’에서는 처음 보는 기호가 마구 쏟아져요. 이 때는 무엇보다 각각의 기호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정확히 알아야 해요.원소기호(∈)는 집합과 원소 사이의 관계를 ... ...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술이 있을까.“정말 유용한 것을 만들자, 이것이 제가 우리 연구원들에게 가장
강조
하고 있는 것이죠.”1초면 대형 수영장 3000개가 끓는다포장지의 비밀을 밝히려 찾아간 고등광기술연구소는 사실 ‘초고출력레이저’를 개발한 곳으로 더 유명하다. 초고출력레이저도 다른 레이저와 마찬가지로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공대생도 인문학과 예술을 알아야 합니다. 기업의 CEO들이 최근 인문학이나 예술을 많이
강조
해요. 제품 개발이나 기업 경영에도 필요하지만 선진국 경영인과 이야기할 때도 중요합니다. 그들과 기술 이야기, 경영 이야기만 할 수는 없어요. 예술 작품 이야기도 해야 하고 인문학 토론도 해야 합니다. ... ...
르네상스 걸작에서 찾은 원근법
수학동아
l
2012년 01호
색채를 균형 있게 배치하거나 명암을 주어 균형을 이루고, 그림에서 주제를
강조
하는 기법을 썼다. 그 덕분에 색감은 더 화려하고, 인물의 행동은 생동감 있어 보인다.19세기 이후 현대에 이르자 화가들은 현실 세계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에 르네상스 시대만큼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현실을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같이 사는 잡초학자’라고 말했다며 웃던 강 교수는 잡초는 상황에 따른 말일 뿐이라고
강조
한다. 즉 벼는 작물이지만 국화밭에 벼가 있으면 벼도 잡초라는 것.“Pflanzen haben keinen Sonntag!(식물에게는 일요일이 없다)”독일 유학 시절 일요일도 없이 학교에 나와 연구에 몰두하던 지도교수가 하던 말이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빔라인을 건설해 복합물질을 근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강조
했다. 막스플랑크라는 이름값만 내세우는 것이 아닌 실제 아시아 연구기관들도 함께 연구할 수 있는 허브가 포스텍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세계적인 막스플랑크 재단이 포스텍과 공동으로 한국연구소를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