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0화. 행성 공장의 유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3호
- 해롱 선장을 비롯한 모두가 행성 공장은 처음 와보는지 다만드러의 설명을 들으며 고개를 끄덕이고 있었습니다.“일단 땅과 바다를 완성하면, 비가 오면서 강과 호수도 생길 거예요. 그러면 나무와 풀을 심고, 동물들도 데려와 생태계를 만들어요. 그다음에 사람이 와서 사는 거지요.”“그런데 ... ...
- [특집] 네모난 브릭으로 원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놀이동산 곳곳의 네모난 건물은 만들었는데…. 롤러코스터나 관람차 같은 곡선 모양은 어떻게 하지?”모두가 혼란에 빠진 그때, 수학자 모습을 한 장난 ... 브릭 1개를 붙여도 돼요. 각 조각을 분수로 어떻게 나타낼 수 있는지 알면 작은 브릭 여러 개를 모아 큰 브릭 대신 쓸 수 있답니다 ... ...
- [특집] 브릭 작품의 세계로 초대합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장난감들은 드디어 브릭으로 만든 놀이동산을 완성했어요. “토이가 이걸 보면 좋아하겠지?” “분명 좋아하고말고. 우리 다음에는 더 멋진 것도 만들어 보자! 브릭으로 과연 ... 지탱하기 위해 와이어 같은 장치도 활용하면서 고민이 많았어요. 완성하기까지 무려 6개월이 걸렸답니다 ... ...
-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거대한 행성을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우리가 사는 지구를 포함해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까지 모두 8개의 행성과 단 하나의 항성인 태양이 있지요. 이 중에서 가장 큰 행성은 바로 ‘목성’이에요. 태양에서 5번째로 가까운 행성인 목성은 오로지 기체로만 이뤄진 가스형 행성이에요. 목성의 지름(원이나 구의 ... ...
- [핫이슈] 뇌과학×작곡×수학, 뇌파로 만드는 나만의 노래!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좋겠어요. 지금처럼 그 시도를 재밌게 풀어나가면 좋고요. * 안창욱 GIST 교수팀이 개발한 작곡가 AI ‘이봄’은 가수 홍진영의 ‘사랑은 24시간’ 등 6곡을 작곡해 한국음악저작권협회로부터 저작권료를 지급받았다. 이 사실을 뒤늦게 인지한 협회 측은 지난 7월부터 저작권료 지급을 중단했다 ... ...
- [그래프 뉴스] 코로나19 이후 미국 학생 수학 성적 '뚝'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본래 2년마다 평가를 실시하지만 코로나19로 3년만인 2022년 초 미국 전역 1만여 개 학교에서 45만 명에 달하는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평가가 치러졌어요. 그 결과 초등학교 4학년의 수학 평균 점수는 500점 만점에 236점으로 2019년(241점)과 비교하면 5점 떨어졌고, 중학교 ... ...
- [가상 인터뷰] 금붕어도 사람처럼 거리 계산한다고?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몇 개인지 어느 정도 파악하면서 이동했던 거지요. 원래 70cm를 헤엄칠 때 세었던 줄무늬 개수만큼 이동해서 멈춘 거예요. 가로, 세로 줄무늬가 모두 표시된 체크 무늬일 때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어요. 그런데 줄무늬를 가로로 그렸더니 대부분 길을 헤매고 각자 다른 지점에서 멈췄어요. 가로 ... ...
- [과학뉴스] 역대 최대 규모 화산 중간권 뚫은 기둥 높이는 57km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방법이다. 천문학에서는 이를 활용해 지구와 천체의 거리를 추정한다. 연구팀은 세 개의 정지궤도 기상위성이 화산 폭발 당시 촬영한 항공이미지로 10분마다 화산재 기둥의 변화를 정리했다. 화산재 기둥의 가장 높은 지점은 상공 57km로 나타났다. 역대 가장 높았던 필리핀 피나투보 화산의 것보다 1 ... ...
- [이달의 꼼지락] 손에 손잡고 지는 해에 치얼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크리스마스트리에 거는 줄 전구처럼 생겼습니다. 블록 역할을 하는 작은 분자 여러 개가 줄지어 형성된 이런 큰 분자를 ‘고분자’라고 부릅니다.젖산칼슘 용액 속 칼슘이온은 줄 전구의 각 가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양전하인 칼슘이온이 음전하인 알긴산나트륨의 산소 원자를 잡아당겨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세포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해결되지 않는 의료수요를 채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과학 연구와 사업을 별개라 생각하지 않는다”며 과학동아 독자들 에게 언제든지 연구의 사업화를 생각해보라고 조언했다. “결국에는 본인의 연구가 사회에 어떤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지 고민하는게 사업이라고 생각해요. 자기가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