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관
동물
d라이브러리
"
동물기관
"(으)로 총 1,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정부관에서는 지난 30년간 우리가 걸어온 발자취와 현재의 위치, 그리고 미래에의 도전을 다양한 영상기법을 통해 보여준다.자연생명관에서는 지구탄생에서 인류진화까지, 또 인체 속 내부를 세포수준까지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엑스포장 한가운데 자리잡은 정부관은 93대전엑스포를 대표하는 주 ... ...
개의 치매증 진단하는 기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일정방향으로만 걸을 수 있고 방향을 바꿀 수 없어 모서리를 만나면 걸음을 멈추는' 중증의 치매에 걸린 개의 뇌를 분석해 이를 진단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됐다는 소식이다.지난 4월 일본수의학회에서는 '개의 치매증에 관한 연구'가 발표됐는데, 여기서는 개의 치매증에 관한 정의와 진단기준 ... ...
친할 만한 곰팡이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뉴스에서 곰팡이 균이 여느때와는 달리 호의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문제는 '곰팡이'라는 단어가 기분 좋지 않다는 것이다. 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닌 한 곰팡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 유기체의 대명사다.다세포 형태의 버섯에서부터 빵을 부풀리고 음료를 발효시키는 이스트와 같은 단 ... ...
생물- 3억개의 폐포 통해 몸 곳곳에 산소공급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사람이 평상시에 호흡할 때 출입하는 공기의 양은 약5mℓ. 그러나 이 공기가 모두 허파에서 이용되는 것은 아니다 ⅓정도는 아무 쓸모없이 들어왔다 나가버린다.우리 몸속에는 4백59g짜리 풍선이 두개 있다. 그것은 바로 허파다. 허파는 풍선처럼 아무런 근육이 없기 때문에 수동적인 역할을 할 뿐이 ... ...
인간 눈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 구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과학은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다. 만약에 사람이나 동물의 눈이 갖고 있는 기능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캘리포니아 대학 버클리 분교 추아 교수팀은 생체눈(bionic eye)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생물학자들의 최근 연구 동향은 기계에 지능과 감각을 부여하는 연구에 관심을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새 소리 못듣는 인간의 삶 상상할 수 없다"지난 3월 한국조류협회는 국내에서 이미 멸종된 것으로 추정한 백두산의 텃새 호사비오리를 강원도 철원 민통선에서 발견, 아직도 그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호사비오리'를 보았거나 아는 사람은 드물다. 이 새는 국내 발행 조류도감은 물론 일본이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생물체는 일정한 수명을 갖고 있다. 그러나 자손을 낳음으로써 생물체는 자신의 유전정보를 후손에 전달하여 자신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 성의 분화를 통한 유성생식이다. 성의 구별이 생겼을 때 중요한 것은 바로 감수분열의 수행이며 이를 통해 모든 개체는 수없 ... ...
보고 만지고 타보면서 느끼는 산 체험의 장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물질문명의 기본이 되는 소재와 인간이 이룩한 발명 중 가장 인류생활에 영향을 많이 준 자동차. 포항제철의 「소재관」과 기아의 「자동차관」은 이들이 인류문명에 미친 영향을 상세히 조명하고 있다.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소재 아닌 것이 없다. 나무 철 플라스틱 등과 기타 금속들로 우리가 사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대한조류협회는 그동안의 활동상황이 매스컴에 자주 보도돼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손꼽히는 일로는 서강대교 공사재개를 놓고 서울시와 공방을 벌여 이긴 것을 들 수 있다.소음이 심한 도심에서도 온갖 새들의 노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이 있다. 대한조류협회(회장 송순창·54) 사무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음성학은 인간의 언어에 쓰이는 말의 소리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학문으로 연구대상에 따라 조음음성학 음향음성학 청취음성학의 세 분야로 나눌 수 있다.우리는 매일 말소리 속에서 살고 있다. 언어란 소리와 의미내용 사이의 대응관계를 맺어주는 규칙의 체계이며, 우리는 말소리를 내어 그 말소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