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둘째손가락
손가락
손까락
손꾸락
d라이브러리
"
둘째
"(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뚱보가 되는 지름길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좋은 아이스크림이라고 한다. 이에 비하면 샤베트 아이스케이크 하드류는 맛이 떨어진다.
둘째
는 향이다. 과일 과일즙 초콜릿 땅콩 잣 호도 등 천연과일의 향, 그리고 첨가제나 색소의 향이 좋으면 당연히 혀는 좋은 맛을 느끼게 된다.한가지 특이한 것은 아이스크림을 만들 때도 약간의 소금을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아이들이 컴퓨터에 친숙함을 느끼고 흥미를 갖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성공이라고 봅니다.
둘째
로 정보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초등교육에서부터 길러줘야 하는데 이런 점에서 학교 컴퓨터교육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봅니다. 또 산수 자연 등 과목에 학습용 프로그램을 가끔 활용하는데 다른 ... ...
3 건물배치도 훌륭한 소음대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저소음항공기 대체계획에 따라서 소음이 큰 B-707 및 DC-8 등은 운항이 중지되고 있다.
둘째
저녁이나 밤시간대의 운항을 줄여야 한다. 밤 시간에 1회 운항하는 것은 낮에 10회 운항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항공소음 저감대책을 우리나라에서도 어느 정도 도입해 시행하고 있기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일고의 가치가 없지만 계산과정에서 거론된 단백질에 대한 지식 중에도 틀린 데가 많다.
둘째
4백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의 수중 한 단백질의출연 가능성을 ${40}^{-400}$으로 계산했는데 이는 하나의 아미노산 배열이 다른 단백질은 고유의 기능이 달라진다는, 즉 단백질이 고유기능을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나타나게 되는데, 우리나라 내륙산지의 폭포들 거의 모두가 이러한 경우에 해당된다.
둘째
는 평지지역을 흐르는 하천유역에 발달하는 경우다. 완만한 경사로 이루어진 평지의 하천유로에서는 폭포의 형성여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탄강 상류지역인 철원에 있는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설계원칙은 두가지였다. 첫째 벡터처리방식을 도입하되 매우 단순한 형태가 되게한다.
둘째
각 부품을 연결해주는 배선의 길이를 최소화한다.이런 이유때문에 부품들은 일렬로 늘어선 형태가 아니라, 서로가 최소한의 거리로 연결되기 위해 원통형으로 모아졌다. 모든 배선의 길이는 1.2m가 넘지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이를 수학적으로 단극 음원으로 표현하며 물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소리가 크게 발생한다.
둘째
는 비행기 날개가 움직이면서 양력(lift)이 발생하는데, 이 힘 방향으로 소리가 전파된다. 이 소리 크기는 힘의 크기에 비례한다. 이것을 씽극 음원이라 한다.셋째로 물체가 정지해 있어도 공기가 물체를 ... ...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제정하고 산학공동연구센터를 설치하는 등 주변의 여건도 활성화하고 있다.
둘째
로 특허관리를 철저히 하고 해외특허 취득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그 결과 1989년 미국에서 특허등록된 신규특허중 21.1%를 일본이 취득했다. H시리즈의 성공으로 그렇다면 현재 일본이 주력하고 있는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었다. 첫째 이 이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중성류(neutral current)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둘째
약작용을 전달하는 W입자의 질량이 양성자의 1백배 정도로 재규격(renormalization)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곧 계산이 불가능한 이론인지 아닌지가 확실하지 않았다. 70년대에 이르러 중성류가 발견됐으며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이것은 뫼스바우어(Mösbauer) 효과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
둘째
로 태양의 중력으로 인한 별빛의 구부러짐도 일반상대성 이론을 지지하고 있다. 이것은 1919년의 개기일식을 통해 확증됐다.셋째로 수성의 근일점 이동도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입증한다. 이것은 오래도록 수성을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