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지막"(으)로 총 4,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다음과 같은 문제를 떠올렸습니다. 팔은 1921년에 쓴 논문에서 이같은 질문을 하면서, 마지막 쪽에 덴마크 수학자 하랄 보어가 이 문제의 답은 ‘예’라고 말했다고 적었습니다. 문제는 그 풀이가 적힌 논문을 아직 아무도 찾질 못했다는 겁니다. 과연 풀긴 푼 걸까요? 아니면 찾지 못한 걸까요 ... ...
- 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의3승+5의3승=6의3승이 성립하는데, n이 k와 같으므로 추측이 성립한다. 이것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와도 관련이 있다. 협공으로 깨부숴버린 추측과연 오일러가 만든 추측은 강력했다. 한 세기가 지나도 입증하거나 혹은 반례를 찾아낸 사람이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게 오일러는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하트시그널은 드라마가 아니다. 어떤 결말을 향해 가는 서사가 아니라는 의미다. 또, 마지막에 커플이 되는 것이 목적인 프로그램도 아니다. 입주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한 달이라는 시간 동안 ‘무한 썸’ 을 타고, 자신의 마음을 잘 들여다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군가를 좋아하는 마음이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뻗은 동물보다 에너지를 적게 쓸 수 있어요. 그 결과 더 오래 달릴 수 있었지요.” 마지막으로 이정모 관장님은 “영화 처럼 공룡이 부활하길 바라는 사람이 많은데, 사실 새도 공룡의 일종”이라며, “무엇보다 현재 살아 있는 동물이 공룡처럼 멸종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게 가장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생각한 사람도 실은 ‘아마추어’였던 경우가 많아요. 대표적인 사람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유명한 피에르 드 페르마랍니다. 수학자도 인정한 아마추어 수학자, 페르마‘정수론의 창시자가 피타고라스라면 정수론을 학문의 경지로 끌어올린 사람은 페르마’라는 말이 있을 만큼,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에 덧붙여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마지막 말을 남겼다. “SW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수학은 반드시 필요 합니다. SW의 성능은 수학식을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지금 공부하고 있는 수학 개념을 잘 이해하고, 발전시켜 세상을 ... ...
- Part 3. 방귀, 방심하면 놀란다! 소노란 산호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세상에서 가장 다정한 방귀 가짜 방귀 대회 마지막 참가자는 바로 바닷속에 사는 ‘청어’야. 청어는 가짜 방귀로 친구들과 대화를 하기도 하지. 정말 대단해! 뽀글뽀글, 뽁뽁, 방귀로 대화한다?!덴마크 아르후스대학교의 마그너스 발 베르그 박사팀은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있는 기체 영역인 ‘기권’,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체인 ‘생물권’,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권의 바깥 영역에 해당하는 ‘외권’이 있다. 땅을 이루는 지권지권은 지각과 맨틀, 핵(외핵과 내핵)으로 나눌 수 있다. 지각은 지권 중에서 가장 바깥쪽, 즉 지구의 표면에 있는 층으로 지권의 ... ...
- [과학뉴스] 태양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적색거성 단계가 끝날 무렵 바깥 대기층에서 전하가 방출되면서 행성상 성운을 이룬다. 마지막으로 대기가 거의 없어지고 핵융합이 종료되면 중심별만 남아 천천히 식어가는 백색왜성이 된다. 과학자들은 태양도 수명을 다하면 다른 별처럼 적색거성을 거쳐 행성상 성운을 만들 것인지에 대해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신경 전구세포 III’ 등 네 단계를 거쳐 분화한다. 이후 ‘미성숙한 뉴런’이 됐다가 마지막으로 ‘성숙한 뉴런’이 된다. 성인의 해마에서 휴지 줄기세포와, 중간 단계의 신경 전구세포들이 발견된다면 뉴런이 계속해서 생성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구팀은 단계마다 세포에 붙을 수 있는 항체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