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비맨] 하비맨, 국내 1위 오목 기사와 배틀 뜨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있습니다. 2021년 현재 한국 랭킹 1위인 김규현 오목 기사는 하비맨의 실력을 8급에서 5급 사이로 예측했어요. 오목에는 공평한 게임을 위해 ‘렌주규칙’을 적용합니다. 흑돌을 가진 사람이 오목판 중앙에 첫 수를 두면서 경기를 시작하는데요. 오목에서는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 무조건 유리합니다.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수 있게 됐다. 이런 수학의 자유로움으로 현재는 식물이 가뭄에 적응하는 법, 박테리아 사이의 의사소통법,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신약 개발 등 다양한 퍼즐을 많은 의생명과학자와 함께 풀고 있다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버드나무 등 국내 하천 주변에 서식하는 식생은 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발아한다. 이들 식생은 하천 주변 공간 중 강물보다 어느 정도 높은 지역에서만 발아할 수 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하천 주변에서 이들 식생의 발아가 가능한 지역을 찾은 뒤 이 지역이 물에 잠긴 ... ...
- [한페이지 뉴스]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식스코프(Seq-scope)’라고 불리는 이 기술은 DNA를 구성하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사이토신(C)이 만드는 패턴을 마치 바코드처럼 인식해 공간지도를 작성한다. 그리고 조직 샘플 내 발현되는 모든 유전자와 여기에서 전사된 mRNA를 증폭시켜 이미지로 만든다. 이를 분석하면 세포 내부의 유전자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설명했다. 최근에는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를 최대한 가까이 배치하고, 둘 사이에 연결점을 늘려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방식의 PIM이 개발되고 있다.ETRI도 이런 방식을 따른 PIM인 AB31을 현재 개발 중이며, 조만간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권 본부장은 “AI 알고리즘에 적합한 형태의 ...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에 따르면, 일상에서 사투리 사용 비중이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7%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지요. 사투리를 모으는 솔트룩스는 “이 사업을 통해 사투리가 사라지는 속도가 늦춰지길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인터뷰 "사투리가 있어야 표준어도 있는 거예요."김덕호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시냅스, 맨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액체 형태로 존재하는 ‘핵’, 가벼운 물질이 딱딱한 바깥쪽 지면을 이루는 ‘지각’, 그사이 중간 밀도의 고체 상태 물질로 이뤄진 ‘맨틀’로 나뉘어요. 태양계에서는 지구와 수성, 금성 등이 맨틀을 지니고 있어요.맨틀은 보통 행성체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해요. 지구의 맨틀은 두께가 약 290 ... ...
- [특집] 식물, 이젠 피부에 양보하세요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검사 등을 거친다. 대표적인 비건 인증 기관으로는 비건 개념을 처음 만든 영국의 비건 소사이어티, 프랑스의 이브 비건 인증, 북미의 리핑 버니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비건인증원이 식약처의 인증·보증을 받아 비건 제품을 인증하고 있다.이들 단체의 역할은 단지 비건 인증을 부여하는 데만 ... ...
- [한페이지 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볼 수 있다. 이것이 정보엔진이다. 실제 정보엔진은 1990년대 후반 처음 개발됐다.사이먼프레이저대 연구팀은 레이저에 가둔 입자의 무게에 따라 스프링의 위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또다른 레이저로 확인했다. doi: 10.1073/pnas.2023356118 입자의 무게 때문에 스프링이 내려가면 이 위치를 측정하고, ... ...
- [논문탐독] 세포를 시공간적으로 살피다, 4D 뉴클레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인핸서와 유전자에 안정적으로 결합해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쉴 새 없이 둘 사이를 왔다갔다 하며 화학 반응을 조절하기 쉬운 미세 환경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입니다.다만 이런 매개체 단백질에서 관찰되는 특징이 실제 어떤 분자적 움직임을 유도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지는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