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덤
묘소
뫼
묘
산소마스크
마스크
묘지
d라이브러리
"
산소
"(으)로 총 2,56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쓰인 기술로, 모래에 묻은 석유가 바닷물에 자연스럽게 씻기도록 도와 줘. 또 모래 속에
산소
를 공급해서 미생물이 석유를 더 빨리 분해할 수 있게 해 준단다.하지만 이 기술은 생물이 많이 사는 갯벌지역에서는 쓸 수 없고, 심하게 쓰면 경관을 망친다는 단점이 있어.조심해서 써야 할 고온 고압 ... ...
뇌 기계 접속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신형철 한림대 의대 연구팀은 근적외선을 이용해 뇌세포의
산소
소비량을 읽는 기술을 이미 연구 중이다. 근적외선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다. 안과에서 망막의 형태를 검사할 때 실제로 쓰고 있다. 이 기술이 완성되면 누구나 헬멧이나 머리띠만 써도 BMI를 통해 말하거나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밴 엘런대에 모인다. 이러한 하전 입자가 공기 중의 질소 혹은
산소
와 충돌하면 질소와
산소
가 빛을 내는데 이를 오로라(극광)라 한다. 지구 자기장이 사리진다면 고 에너지 입자가 지상에 도달해 생명체가 살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지구 자기장의 근원은 철과 니켈로 구성된 액체의 외핵이라는 설이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연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켓엔진을 쓰면 음속의 20~30배 속력을 낼 수 있지만
산소
탱크를 싣고 다녀야 해 민간 항공기를 만들기엔 무리가 따른다. 또 연료 대비 효율도 낮다. 따라서 현재 극 초음속 비행기를 가능하게 해 줄 가장 유력한 추진기관 후보는 스크램제트 엔진이다. [여객기는 반드시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유물 표면에 구멍을 송송 낸다. 결국 마도 선박의 유물들은 진흙에 묻힌 덕분에 바닷물과
산소
, 바다생물로부터 지켜질 수 있었다는 얘기다.해가 뉘엿뉘엿 넘어갈 때 쯤, 해저에서 작업하던 잠수부들이 바지선으로 올라왔다. 웬만한 작업들이 이미 끝나서인지 인양 백에는 도자기 파편 같은 돌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분압차에 의한 확산에 의한 것이므로 같은 부피의 공기와 물을 비교할 때 공기의
산소
의 분압이 크고, 이산화탄소의 분압이 작아 호흡에 더욱 유리하다. 기체의 확산은 공기보다 물에서 더욱 어렵다는 점도 물이 불리한 호흡환경으로 만드는 데 한몫 한다. 물에 용존돼 있는 기체는 약한 전기적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5일발사하려고 했는데, 발사 직전 갑자기 엔진이 꺼지면서 모든 동작이 멈췄다. 엔진에서
산소
가 새어나와 주변 기기에 불이 붙었다. 다행히 두 달 뒤인 8월 30일 비행에 성공해 27년 째큰 탈 없이 현장에서 뛰고 있다. 하지만 만약 그때 불이 전체로 옮겨 붙었다면 처녀비행에서 뜨지도 못하고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꼽힌다. 그중에서도 산호초가 잘 발달된 미크로네시아의 물속 풍경은 으뜸이다. 무거운
산소
통과 다이빙 장비를 착용하고 바닷속으로 들어갔다. 교육을 받은대로 귀에 느껴지는 압력을 조정해가며 조금씩 내려갔다. 10m 정도 내려가니 새로운 세계가 나타났다. 말랑말랑한 산호가 살아서 움직인다.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만들어 내는 미생물로 30억 년 전의 아주 오래 전 화석에서도발견된다. 지구 초기에
산소
를 공급하는역할을 했다.코크웰 교수는 박테리아가 살고 있는 바위를 국제우주정거장(ISS) 외부에 있는 실험장치에 넣은 뒤 그대로 우주 공간에 노출시켰다. 553일 뒤, 회수한 바위를 조사한 결과 아직 살아 있는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숨을 빨리 쉬게(과호흡) 만든다. 적혈구의 숫자도 늘어나서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산소
가 부족할 것에 대비해 뇌와 심장으로 가는 혈류량은 증가하고 근육으로 가는 혈류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이 단계를 지나면 ‘느린 순응’을 거친다. 낮은 기압에 몸이 완전히 적응해 건강을 되찾는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