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번째 창조물은 미쳐버려서 은하계를 파괴하는 대참사를 일으켰습니다. 두 번째 시도는
성공
했지만, 어린 아이에 불과했습니다. 인류는 은하계를 이 순수한 지성에게 넘기고 어디론가 떠나 버렸습니다. 그때 떠나기를 거부한 사람들이 다이어스퍼의 주민이었습니다. 이들은 드넓은 우주를 거부하고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않는 주말에는 족구를 하며 스트레스를 풀던 순간들. 이 모든 순간들이 모여 나로호의
성공
을 만들어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조광래 1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 ... ...
티비는 선배를 싣고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또 체코, 오스트리아 등 유럽 4개국으로 해외 연수도 다녀왔어요. 뚜렷한 목표만 있다면
성공
적인 학교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에 입학해 진로를 정하려면 방황할 수 있으니 지금부터 생각해보세요! ● 김우현 기자 저는 중학생 때의 제 모습이 떠올랐어요. 그때는 구체적인 목표가 ... ...
[알고리듬 시그널] 정보의 바다에서 데이터 찾기, 탐색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네요! 비록 문제를 맞힌 건 최강이지만 이 정도면 아주
성공
적이에요. 그럼 최강이 말한 ‘탐색 알고리듬’이 뭔지 상세히 설명해 줄게요. 우리 디지털 세계에는 세상의 모든 책을 모아 놓은 커다란 도서관이 있어요. 여러분이 원하는 어떤책이든 읽을 수 있죠. 그런데 책이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미호종개의 생식소를 해동한 뒤, 미꾸라지에 이식해 미호종개 개체를 증식하는 데
성공
했다. 이 연구사는 “줄기세포를 살아있는 상태로 회수해 정제하는 것이 기술의 핵심”이라며 “앞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흰수마자, 꼬치동자개 등의 복원에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이정현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아데노신에 인이 세 개면 아데노신삼인산….”‘참을 인(忍) 세 번이면 살인도 면한다’는 속담이 이렇게 바뀌다니. 만화 속 개그 센스에서 이과 사 ... 전할 수 있게 된다”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경험을 대중적으로 잘 풀어내는 게
성공
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을 쏘아 올려 베이징과 오스트리아 빈 사이의 7600km를 무선 양자통신으로 연결하는 데
성공
했습니다. 조 선임연구원은 “양자기술이 정말 어디까지 발전할지, 일반 대중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더 지켜봐야한다”고 말했습니다. 1 구글이나 IBM처럼 초전도체를 이용해 큐비트를 만들려면 0K ... ...
[SW진로체험] 맛있는 피자에 필요한 토핑은 '데이터'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좋은 결과가 있을 거예요. 저는 자기가 싫어하는 것을 잘하는 사람이 좋아하는 일도
성공
적으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부가 내 길이 아닌 거 같아도 ‘이렇게 싫은 공부도 잘 견뎌내면 나중에 어떤 일을 해도 버틸 수 있다’라는 마음으로 끝까지 노력했으면 합니다 ... ...
[과학뉴스] 빛으로 금화조에게 노래 기억 심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새는 노래를 부르는 성체 개체를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지만 스스로 노래를 부르는 데
성공
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10월 4일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doi: 10.1126/science.aaw422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μM은 100만분의 1M)~10mM(밀리몰), 안압은 5~50mmHg에서 각각 농도와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데
성공
했습니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바늘로 피부를 찌를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고통이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생체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Q 스마트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