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부피대비 8W/m3로 기대치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었지만 약 6개월간 진행된 시험가동에서
실험실
규모의 연구에서 벗어난 실제 규모의 시스템을 가동해 실용화를 향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는 데 의의가 크다.2009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의 포도주 양조장에서 포도주 제조에 사용하지 못하는 ... ...
문화재를 되살려라!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연구할 땐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 방에서 하얀 가운을 입고 해야 해. 그래서 꼭 과학
실험실
같은 분위기가 나지. 손끝에서 염분이 묻으면 금속 문화재에 해롭기 때문에 유물을 만질 때는 장갑도 필수야~!섬세함과 끈기가 필요해~!조상들이 쓰던 허리띠의 금속 부분을 광학현미경으로 확대해 관찰하고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자연의 힘을 설명하는 방정식을 만들었다. 이 방정식으로 예측한 사실은 오랫동안
실험실
에서 입증됐다. 하지만 양-밀스 이론은 수학적으로 완성되지 않았다. 양-밀스 이론을 수학적으로 완성하는 것이 바로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4. 내비어-스톡스 방정식내비어-스톡스 방정식은 배의 주위를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보이는 단백질이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20여 년 전부터 이런 일들을
실험실
에서 시도하기 시작했다.리보솜이 mRNA의 염기정보에 따라 아미노산 사슬을 만들 때는 아무 자리에서나 시작하는 게 아니라 ‘AUG’라는 개시코돈에서 시작한다. 개시코돈은 아미노산 메티오닌을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17인 동위원소 2종을 만들었다고 ‘피지컬 리뷰 레터스’ 4월 9일자에 발표했다. 다른
실험실
에서 이번 발견을 재현해야 새로운 원자에 이름을 붙일 수 있다는 국제 규칙에 따라 이 원소는 아직 정식 이름이 붙여지지 않았고 임시로 ‘우눈셉티엄(ununseptium, 약자로 Uus)’으로 불린다.이번 연구를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다. 미래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실험실
에서 막연하게 진행되는 연구는 개인의 ‘호불호(好不好)’가 분명히 갈리지만 인류의 에너지원을 찾는 거대담론에서는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마크 제이콥슨 미국 스탠퍼드대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누가 봐도 눈에 확 띄는 제목의 뉴스가 전해진 것이다. 미국의 듀크대 연구팀이
실험실
에서 투명망토를 실현시킬 장치를 최초로 고안했다는 내용이다. 당시 세계 언론은 영화 ‘해리포터’ 못지않게 호들갑을 떨며 이 소식을 세계 곳곳으로 내보냈다. 그리고 ‘사이언스’는 그해 10대 연구 성과 중 ... ...
사각형이 만드는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학
실험실
2번째 시간에는 위아래 좌우가 모두 평행인 선분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에 대해 공부할 거예요. 2차원 정사각형, 3차원 정육면체, 4차원 입방체까지 각진 친구들의 이모저모를 실험을 통해서 알아봐요. 실험에 앞서 아르키매스 박사님이 정육면체와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 주신대요.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자신을 복제할 수 있는 RNA 구조가 있었을 거란 추측이다.놀랍게도 이와 비슷한 분자가
실험실
에서 만들어졌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제랄드 조이스 박사팀은 서로 상대방의 합성을 촉매하는 두 리보자임(E와 E´)을 만들었다고 지난해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상대 분자를 만들면 결국 ... ...
CSI 수사체험 ‘피의 흔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실제로 실험에 의하면 20만 배 이상으로 희석된 혈액에도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실험실
이 아닌 실제 범행현장은 다양한 변수가 있기 마련이다. 야외라면 밤이라는 시간에 한정되며, 도심에서는 가로등, 간판 불빛으로 인해 루미놀의 푸른빛이 잘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염두에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