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휘발성이 있어 바람에 날려 다른 담배에 전해진다. 그러면 다른 담배들도 일제히 소화
억제
물질을 분배해 벌레의 공격을 저지시키는 것이다. 소식이 전해지는 빠르기는 1분에 약 24m 정도라고 한다. 또한 사막의 초목들이 초식동물이 잎을 뜯으려고 몰려들 때 옆 나무의 소식을 전해듣고 순식간에 ... ...
1. 암정복의 꿈이 현실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넘는 에이즈치료제가 개발됐으며, 특히 여러 치료제를 혼합해서 바이러스의 기능을
억제
하는 ‘칵테일 요법’이 등장함으로써 일단 에이즈를 무력화시키는데는 성공했다. 그 결과 미국에서 에이즈환자의 사망률이 1996년을 전후해 현저히 감소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최근 몇년 사이 미국 환자의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세포들이 서로 다른 핵산대사과정을 가진다는 사실을 밝혀, 암세포 내에서 핵산합성을
억제
하는 약을 개발했다. 같은 원리로 백혈병치료제와 에이즈치료제를 개발하기도 했다. 평생 독신으로 지냈던 엘리언과 그의 스승 히칭스 박사는 1974년 우리나라 중앙대에 와서 임상약리학을 연구하기도 했다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수면제다. 수면제가 합성되기까지는 아편이 수면제 노릇을 대신해 왔다. 중추신경계를
억제
해 흥분을 가라앉히는 수면제는 많이 먹으면 잠이 들게 된다.수면제로 사용된 최초의 합성물질은 1869년에 합성된 수산화클로랄이었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많이 사용되는 것은 1903년 독일의 화학자 에밀 ... ...
1. 사랑의 묘약, 냄새와 호르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위해 몸에서 만들어내는 일종의 모르핀과 유사한 성분인데, 생식과 관련해서는 주로
억제
성분으로 작용한다. 쉽게 말해 성적인 면에서 GnRH는 양이고 엔도르핀은 음이 된다.한때 유행했던 건강법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엔도르핀은 유쾌하고 행복한 상태에서 많이 분비돼 면역기능을 높혀주고 통증을 ... ...
에이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않았다. 아지도티미딘(AZT)과 같은 치료약이 있긴 하지만 에이즈바이러스의 증식을 잠시
억제
할 뿐이다. 결국 최선의 치료책은 예방이라는 얘기다.에이즈의 위험성이 알려지면서 1988년 1월 1백48개국의 보건장관들은 영국 런던에 모여 에이즈 예방에 관한 런던선언을 채택했다. 이를 계기로 ... ...
모든 술은 몸에 해롭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그에 해당되는 양의 에탄올이 주어졌다.실험 결과 에탄올을 마신 쥐들에게는 면역
억제
반응이 나타났으며 포도주를 마신 쥐들은 정상적인 면역 체계를 유지했다. 연구진들은 연속적으로 에탄올을 마신 동물들이 다른 그룹보다 백혈구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과 적포도주 속의 특정 물질이 면역체계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아니라 암세포를 아예 정상세포로 바꾼다는 기발한 발상이다. 암세포의 유전자 복제를
억제
해 무한 분열을 차단시키는게 핵심이다.기존 항암제의 목표는 암세포 자체를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무래도 주변의 정상세포까지 영향을 미쳐 골치였다. 만일 경기의약센터의 연구가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지켜보면 본래 유전자의 기능을 알 수 있다.이 기술은 특정 부위를 정확히 찾아가 기능을
억제
시킨다는 면에서 ‘유전자 적중술’(gene targeting)이라 불린다. 이제 유전자의 기능을 넣는 일 외에도 ‘빼는’ 길이 열린 셈이다.키메라 등장그렇다면 ‘유전자 적중술’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대상은 ... ...
③ 동물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괴사). 현재 환자를 장기간 무균실에 머무르게 하면서 사이클로스포린과 같은 면역
억제
제를 계속 주사함으로써 이식한 조직이 면역적으로 공격받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는 될 수 없다.원숭이 실험에서 성공이 급속한 면역작용은 주로 보체(comple-ment)라고 불리는 단백질 때문에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