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일부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100억 배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으로 관측
위성
의 감도가 높아지면 더 무거운 블랙홀도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는 말이다.그런데 별 질량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의 수~수십 배이고 거대질량 블랙홀은 태양의 100만 배 이상이라면 그 중간 크기의 블랙홀은 ... ...
유럽의 소형 로켓 ‘베가’ 발사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호의 무게가 1000㎏, 아리랑 5호가 1400㎏이에요. 그만큼 소형 로켓으로 발사할 수 있는 인공
위성
이 많답니다.로켓전문가들은 베가의 발사 성공으로 소형 로켓 시장에서 미국과 러시아, 유럽이 치열하게 경쟁할 거라고 예측하고 있답니다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ATPT)을 설치하면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스러스터(Thruster)’는
위성
의 자세나 궤도를 제어하기 위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다.예를 들어 지진이 발생하면 가공할 위력의 쓰나미가 터널 구조물을 뒤틀리게 할 수 있다. 이 때 어느 정도 규모로 언제 쓰나미가 도착하고 어느 방향으로 오는지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맨 위가 온도로, 커다란 원 모양의 온도 요동 흔적이 보인다. 하지만 연구팀은 플랑크
위성
등 추가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다. 다중우주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결론 이것이 과학인가 vs. 우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폴 데이비스 호주 매쿼리대 우주생물학센터 교수는 2004년 논문에서 다중우주를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배치 단계에 있다.순항미사일은 정확도가 매우 높다. 비행 중 계속 지형을 측정하며 인공
위성
으로 미리 관측한 지형과 대조해 실시간으로 궤도를 수정하며 날아가기 때문이다. 제트엔진으로 날아가는 무인비행기에 가깝다. 반면 탄도미사일은 발사 시에만 로켓의 힘으로 날아간다. 발사 후에는 ... ...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주장했다. 기존 기록은 지상 1.5~2m 상공에서 온도계를 이용해 측정한 기온이고, 랜드샛
위성
이 측정한 온도는 지표면 자체의 온도기 때문이다. 마이크 카를로비츠 지구관측소 연구원은 “태양이나 대기 복사에 의해 땅이 달궈진 정도를 반영하고 있어 지상에서 측정한 기온과는 다르다”고 ... ...
[과학뉴스] 우리나라도 달 탐사 나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발사할 2016년까지 4년간 563억 원 정도가 쓰여요. 우리나라는 초소형
위성
개발과
위성
이 실릴 우주선 일부 제작을, 미국은 우리나라가 맡은 부분을 제외한 우주선 제작 전체와 발사를 맡을 예정이에요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날씨나 시간에도 구애받지 않는다.망원경을 우주에 올리자는 아이디어는 최초의 인공
위성
이 발사되기 10년도 더 전에 나왔다. 제안한 사람은 미국의 천체물리학자 라이만 스피처였다. 1946년 그는 대기의 방해도 받지 않고 더 넓은 파장을 관측할 수 있는 우주에 망원경을 설치하자고 제안했다.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장착된 쇠갈퀴로 쓰레기를 수거하는 이
위성
은 2009년과 2010년에 스위스가 쏘아올린
위성
2대를 처리할 예정이다.세계 무역 분쟁의 시작탄소세를 둘러싼 세계 무역 분쟁이 일어날 조짐이다. 유럽연합(EU)이 올해부터 유럽연합 국가로 운항하는 모든 항공기에 탄소세를 부과하면서부터다. 탄소세란 ... ...
기계항공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뿐만 아니라 모든 제품의 디자인 및 설계, 제조를 책임졌다. 이제는 우주발사체, 인공
위성
, 첨단로봇처럼 20년 후 인류의 키워드로 자리잡을 미래의 핵심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서로 다른 분야의 학문을 융합해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만드는 추세다. 이런 학문의 융합화 추세에 따라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