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자"(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이오로봇을 3D프린터와 근육세포를 이용해 만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1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이전에도 전기장을 이용해 조종하는 바이오로봇을 만들었다. 하지만 전기장은 생명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좁은 부위의 특정 근육만을 선택적으로 조종하기 어려웠다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수 있는 관찰자를 포함하는 작은 우주를 모사했다(학술지 ‘피지컬 리뷰 A’ 2014년 5월 20일자). 연구팀은 서로 얽혀 있는 두 개의 광자를 분리된 두 경로로 보냈다. 양자역학에 따르면, 관측되기 전까지 광자들은 수평과 수직 방향의 편광이 동시에 중첩된 상태로 존재한다.연구팀은 먼저, 우주 내부의 ... ...
- [수학뉴스] 게임, 적당히 즐기면 성적에 도움 된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학업 성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사회정신의학 및 정신의학 역학’ 저널 2월 5일자에 실렸습니다.미국 컬럼비아 메일맨 공공보건대와 프랑스 파리 데카르트대 공동연구팀은 유럽 6개국의 6세부터 11세 어린이 3195명의 자료를 분석했습니다. 이 자료는 ‘유럽학교 어린이 정신건강’ ... ...
- [과학뉴스] 새들도 문장으로 대화한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복잡한 문장을 만들어 의사소통하는 능력이 사람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취리히대 미카엘 그리저 교수팀은 일본의 박새가 서로 다른 의미의 두 소 ...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8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은 떡잎만 봐도 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특징을 찾아내는 컴퓨터 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7일자에 발표했다.식물의 잎과 잎맥의 모양은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종마다 다르다. 하지만 그 차이가 워낙 미세해서 육안으로는 구분해내기가 어렵다. 연구팀은 잎맥이 잘 보이도록 표백한 식물 잎사귀 7500장을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따로 운영하고 있는데, 이 소위원회 회원 상당수가 포함된 필진이 ‘사이언스’ 1월 8일자에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플라스틱, 알루미늄, 콘크리트 등 기술화석(technofossils)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물질이 퇴적층에 쌓이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기후 변화가 ... ...
- [수학뉴스] ‘지프의 법칙’ 얼마나 맞을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책 한 권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의 개수는 그 다음으로 많이 나오는 단어의 개수와 수학적으로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놀랍게도 긴 글에서 단어들이 나오는 빈도가 높 ... 분석하는 데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 1월 22일자에 실렸습니다 ... ...
- [과학뉴스] 입는 컴퓨터에 딱! ‘실’ 트랜지스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펼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2월 19일자에 발표했다.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핵심 소자인 섬유형 트랜지스터를 개발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섬유 위에 딱딱한 고체 전자소자를 붙이는 정도였다 ... ...
- [과학뉴스] 당신이 5분마다 한숨을 쉬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람은 근심이 있거나 안도를 하는 등의 감정을 느끼는 순간 외에도 5분에 한번씩 한숨을 쉰다. 숨을 길게 내쉬면서 폐의 기능을 건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인데 정확한 조절 원리 ...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온라인판 2월 8일자에 게재됐다 ... ...
- [과학뉴스] ‘좀비’ 된 청개구리, 더 매력적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전파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3월 1일자에 게재됐다.하지만 논문의 제1저자인 안득남 서울대 생명과학부 연구원은 자신의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출판된 것을 보지 못했다. 2014년 7월 8일 유방암으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지도교수인 월드만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