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나타난다. 멘델레예프는 이런 생각을 더욱 발전시켜 원소 주기율표를 만들었다.
잘못
된 순서를 바꾸기도 했고, 주기적으로 성질이 비슷하다는 사실로부터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원소의 성질을 예측하기도 했다.훗날 화학자들은 멘델레예프가 주기율표에서 빈 공간으로 남겨 놓은 곳에 들어갈 ... ...
입만 뻥끗해도 척, 붕어 입 통화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빈트 박사는 “아직까지 중국어처럼 소리의 높낮이(성조)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
잘못
된 소리가 전달될 수 있고 전화를 걸 때 입 주변에 센서를 붙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며 “이 문제를 해결한다면 5~10년 뒤 휴대전화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어떤
잘못
을 저질러서 창피하고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다”는 말을 한다. 쥐구멍은 말 그대로 쥐가 드나드는, 벽이나 바닥에 나 있는 작은 구멍이다. 사람이 들어가기에는 턱없이 작을뿐더러 내부는 어두컴컴하고 칙칙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쥐구멍에 들어가겠다고 하는 건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감정이 좌우되는 조건 반사 등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그의 연구는 나중에
잘못
된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하지만 인간의 몸을 기계와 같이 보고 원리를 파악하려고 한 노력은 생리학이 발달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한편, 광학에서는 동물의 눈을 해부해 물체에서 나온 빛이 눈 속에서 ... ...
[새학기 특별 보너스] 새학기 증후군? 문제 없어!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해서는 안 돼요. 선생님이 판단을
잘못
했을 수도 있고, 여러분이 자기도 모르게 뭔가
잘못
했을 수도 있어요.먼저 구체적인 상황을 떠올리고 이유를 찾아보세요. 언제나 싹싹하게 인사를 하는 등 먼저 다가가려는 노력도 좋아요. 이렇게 다른 사람과의 갈등을 해소하고 받아들이는 방법을 배우는 ... ...
π-day 즐기기 3 깊이 들여다보기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돌았을 때 지나간 거리를 구할 때도 파이값이 필요하지. 파이값을
잘못
계산하면 인공위성이 궤도에서 벗어나기도 한대. 인공위성이 우주 미아가 되고 마는 거지. 이런 실제 생활의 예를 보면 수학을 통해 과학은 늘 발전하고 진화하는 것 같아.이제 슬슬 파티를 마무리해야 할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유전자 검색법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전까지 카카오 빈 구분에 사용된 표본 가운데
잘못
된 것이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결과적으로 카카오 나무는 3종이 아니라 10종이나 된다는 것. 가장 다양한 종이 분포해 있는 곳이 종전에 알려진 중앙아메리카가 아니라 남아메리카 아마존 상류의 페루라는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견디지 못하고 병원을 찾게 됐다. 상담을 통해 그는 자신이 어디서부터, 무엇을, 왜
잘못
생각했는지 깨달았다. 그리고 자신의 현재 모습을 있는 그대로 수용해 나가면서 거기서부터 좀 더 희망적이고 발전적인 사람이 되고자 노력했다. 그러자 전에는 그와 말도 하기 싫어하던 사람들이 먼저 다가와 ... ...
새 교과서의 세 번째 성격! 문제 해결의 힘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생각해?”문제의 이해 “편집할 시간이 너무 없었어. 충분한 시간이 있어야 편집하면서
잘못
된 점도 고치고 자막도 웃기게 달지.”“밤샘 촬영은 안 하는 게 좋겠어. 다들 지쳐서 좋은 장면이 나오질 않아.”“연기자들에게 촬영 내용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 것 같아. 그러다 보니 촬영이 길어졌고 ... ...
유해균까지 감싸 안는 장의 고차원 전략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교수를 한다’는 고정관념을 시원하게 깨버렸다. 이 교수는 국내 기초과학에 대한
잘못
된 인식과 환경에 대해서도 따끔한 한마디를 남겼다. “파스퇴르의 실험처럼 기초과학은 하나의 개념을 세우고 원리를 설명하는 데 지나지 않아요. 하지만 우리 사회는 기초과학을 ‘당장 이용이 가능한가’,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