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리"(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생태계와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올해 8월의 폭염은 1994년의 기록을 넘어서 역대 최고 폭염으로 기록됐다. 8월 1일 강원도 홍천의 최고 기온은 41도였고, 전국 관측소의 60%가 관측사상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 대한민국과 아프리카를 합친 ‘대프리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전문가들은 이런 폭염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세포가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제공해 주는 기관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정리하면 쥐의 경우 DNA 양이 늘어나고, 그에 맞춰 핵의 크기도 늘어나고, 더불어 단백질까지 활발하게 만들어 내다보니 췌장 세포의 크기가 커졌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 ...
- Part 1. '미스터 9’의 신기한 마술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크면 ABC>BCA이로 큰 수에서 작은 수를 빼면 ABC-BCA=(A-B)×102+(B-C)×10+(C-A)×100이에요. 이 값을 정리하면 A(102-100)+B(101-102)+C(100-101)이 됩니다. 지수는 다르지만, A, B, C에 모두 10a-10b 꼴의 수가 곱해진 게 보이나요? 마술1에서 본 것처럼 10의 거듭제곱은 10=9+ ...
- 놀이야? 수학이야! 체험으로 배우는 수학,수와북 연구소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문제를 풀어냈습니다. 그리고는 정말 단 4가지 펜으로만 다이어그램을 칠해나가며 4색 정리를 스스로 입증해(?) 보이기도 했지요. 유독 보로노이 빛상자 만들기 수업에 푹 빠져있던 진준엽 군은 “보로노이 다각형에 대해서 익히 알고 있었지만, 결과물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아름다워서 맘에 쏙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R&E 활동, 교사에게 도움 받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R&E를 할 경우 주제나 실험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이나 내용은 미리 숙지하고 내용을 정리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사도 관련 분야를 전부 아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질문을 받은 뒤 관련 자료를 찾아보거나 다른 전문가에게 문의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미리 수집해둔 자료를 교사와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0] 세계화와 지역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세계화와 지역화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기업인 맥도날드는 세계 곳곳에 지점을 두고 많은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맥도날드는 각 국가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단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맛, 매장 분위기, 직원들의 서비스를 통일했다. 동시에 국가나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고려한 특화 ... ...
- Part 3. 수학 문제도 컴퓨팅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지도에서 이웃한 구역은 다른 색으로 칠할 때 필요한 최소 색이 4색뿐이라는 ‘4색 정리’는 수학 문제를 컴퓨터로 해결한 첫 번째 사례예요. 물론 1976년 당시 수학자들은 수학 문제를 컴퓨터로 푼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어 했습니다. 컴퓨터가 맞게 풀었는지 수학자가 검증할 수 없으니 문제를 ... ...
- [수학 잡지 독자가 만든 문제] 삼각형으로 정사각형 쪼개기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유명한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이 자주 쓰던 말로, 신이 있다면 아마도 수학의 여러 정리의 완벽한 증명을 모아서 만들어 놓았을 책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이 책의 3판이 한국어로 번역돼 나왔는데 한글판 제목이 ‘하늘책의 증명’이어서 어떤 서점에서는 종교서적 코너에 책을 ... ...
- 박소라 인천과학고 입학담당관 - “다양성 중요, 다양한 유형 학생 선발”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있지 않은 ‘열린 문제’를 선호한다. 상황을 제시한 뒤 학생이 이에 대한 답을 스스로 정리하고 납득할 만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박 입학담당관은 “답을 만들어가는 사고 과정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라며 “주어진 문제를 변형해 새로운 문제를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9] 진화와 생물의 다양성과학동아 l2018년 09호
- ‘3차 대멸종’과 우리에게 잘 알려진 중생대 말 ‘공룡의 멸종’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정리해보자.3차 대멸종 때 해양 생물의 약 95%, 양서류의 약 80%, 파충류의 약 90%가 지구상에서 사라졌다. 고생대 페름기가 끝나는 순간에 시작돼 트라이아스기 초기에 이를 때까지 일어났으며, 생물 대부분의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