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는 명나라의 서광계가 만든 단어로 중국의 옛 수학 책에서 “얼마인가?”를 뜻합니다.
주위
를 한번 둘러보세요. 선과 면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알 수 있을 겁니다. 선이 그려진 벽지와 도로, 직사각형 면을 가진 건물이 보이지요? 초·중·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 기하 영역에서는 이와 같은 도형과 ... ...
PARTⅠ 수학을 알아야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넓다. 그러면 공을 잡은 선수는 상대 선수가 다가오는 데 걸리는 시간 동안 여유 있게
주위
를 둘러 보고 드리블이나 패스 등 다음 행동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공격과 수비 사이가 좁으면 삼각형도 면적이 좁다. 상대 선수가 순식간에 다가오므로 공을 잡은 선수는 다음 행동에 대해 생각할 여유가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애독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봄을 기다리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주위
에는 녹음이 가득하다. 무더운 여름이 성큼 다가와 있다. 땀을 많이 흘리고 기력이 약해지는 여름에는 보양식을 찾기 마련이다. 보양식이라면 전복을 빼놓을 수 없다. 게다가 여름은 전복이 제철이다. 여름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것 같구나.” 선생님은 N학생의 특기를 살려 플루트를 활용한 봉사활동을 제안했다. “
주위
에 악기를 다룰 수 있는 친구들을 모아서 소규모 관현악단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그래서 연주회도 열고 그렇게 얻은 수익으로 네가 빵을 배달해주는 장애인들을 위해 쓰면 더 좋은 일이 될 것 같구나.”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곳을 본 지오는 흠칫 놀랐다. 커다란 멧돼지 다섯 마리가 죽은 채로 널브러져 있었다. 그
주위
로 사냥꾼으로 보이는 사내 다섯이 심각한 표정을 짓고 서 있었다. 한눈에 지오는 모든 상황이 짐작되었다.‘음……. 사냥꾼들이 멧돼지를 잡았군. 사냥꾼들이 칼을 고치러 온 참에 여기서 멧돼지를 나눠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손에 이끌려 어디론가 달려갑니다. 마침내 달리기를 멈춘 앨리스는 숨을 헐떡이며
주위
를 돌아봅니다. 그런데 그 곳은 아까 출발했던 곳입니다. 앨리스는 황당해서 붉은 여왕에게 그렇게 오래 달렸는데 왜 똑같은 장소에 있는 건지 따집니다. 하지만 붉은 여왕의 대답이 이상합니다. 거울 나라에서는 ... ...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염뿌리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하지만 쌍떡잎식물의 뿌리는 가운데 굵은 원뿌리가 있고
주위
에 실 같은 곁뿌리가 나요. 곁뿌리에서 또 더 작은 뿌리가 나는데 그 모양을 자세히 보면 뿌리의 전체 모양과 비슷하다는 걸 알 수 있어요.이처럼 부분이 전체를 닮는 현상을 수학에서는 ‘프랙털’이라고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소재의 구멍 뚫기, 용접, 절단, 담금질 작업에 이용된다. 빠른 속도로 국소 부분만 가열해
주위
재질의 일그러짐 없이 깔끔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회자 : 참 작고 귀여운 구멍을 가졌네요. 자, 다음 참가자 나오세요.늘씬한 인간 여자가 등장.참가번호 2번 : 안녕하세요~. 참가번호 2번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실제 자연의 물질이 절대 해내지 못하는 수준까지 빛을 심하게 꺾을 수 있다. 빛을 물질
주위
로 에돌아가게 해서 투명망토 옷감으로 손색이 없는 수준까지 가능할 정도라고 과학자들은 보고 있다.메타물질에서 가능성을 찾은 사람은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 이론물리학자 존 펜드리 교수였다. 1990년대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흙 속에 사는 벌레를 분주히 찾는다.이 새는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한적한 무덤가
주위
에 살며 밤마다 귀신 소리를 낸다고 해서 ‘귀신새’라고도 부른다. 해마다 이맘때면 수천km를 날아오는 ‘호랑지빠귀’다.그 옆에서는 작은 새 서너 마리가 개의치 않고 먹이를 찾는다. 자세히 모습을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