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식"(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을 시각화한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어요. 오른쪽의 사진은 ‘지식지도’라 불리는 작품이에요. 두 개의 큰 원은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의 두 축인 ‘복잡성’과 ‘네트워키즘★’을 상징해요. 원 주위에 나열된 하위개념들과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을 나타내는 작은 원과의 ... ...
- 블랙홀의 매력에 푸욱~, 빠져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사랑을 만난 건가! 아잉, 몰라~.잠깐! 이런 생각을 할 때가 아니지! 내가 아무리 과학 지식이 없더라도, 우주에서 이렇게 강한 ‘인력’을 갖고 있는 존재가 뭔지는 안다고! 이건 분명 공포의 검은 구멍, 블랙홀이라고. 이대로라면 빨려들어가서 두 번 다시 나오지 못 할 거야. 빛도 들어가지 못하는 ...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학교수업의 학습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55.2%, ‘관심분야의 정보와 지식을 전해 준다’ 62.6%, ‘정보문제해결에 도움이 된다’ 60.6%, ‘삶의 지혜를 제공해준다’ 46.8%로 나타났어. 절반이 넘는 부모님이 학습만화가 교육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거야.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 부모님은 ... ...
- 쉬운 일 어렵게 하는 과학장치 골드버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보라고. 평소에 너희가 하는 일 중에 그런 게 얼마나 많은지.평생 써먹을 일도 없을 온갖 지식을 매일 같이 머리에 구겨 넣고 있잖아.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바쁘게 뛰고 있는 이상한 모습을 난 기계로 표현했을 뿐이야.자동으로 턱을 닦는 냅킨?루브 골드버그는 1883년 미국에서 태어난 만화가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첫 번째 뉴스레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생생한 탐사 소식을 전달해 드립니다.지구사랑탐사대원이 되면 배울 수 있는 생태 지식과 탐사방법도 하나씩 공개할 예정이에요. 첫 번째 뉴스는 요즘 가장 핫한 매미 탐사가 드디어 현장교육을 시작했다는 소식입니다. 아는 사람만 아는 매미탐사 비법도 깜짝 공개합니다!7월 20일 광주를 시작으로 ...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보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으로 과학연구를 해 보자고 뜻을 모았어요.이전까지는 많은 지식을 가진 과학자들이 연구를 주도하고, 일반인들은 그 연구를 응원하거나 이해하는 수준이었지요. 하지만 수원청개구리 탐사처럼 광범위한 생태연구는 일반인들이 직접 참여해서 과학자가 할 수 없는 연구를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몸집이 큰 참진드기과에 속하지. 참진드기과가 뭐냐고? 진드기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도 없다니, 정말 실망이군. 안 되겠어. 지금부터 진드기에 대한 퀴즈를 낼 테니까 풀어 보도록 해! 알쏭달쏭?! 진드기 O X 퀴즈 1. 진드기는 절지동물에 속한 곤충류이다. . . . . . . . . . . . . .( )2. 진드기는 크게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가능한 상상력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자칫 잘못하면 과학적으로 오류가 있는 지식을 대중에게 심어줄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사실 ‘11시’에서 ‘웜홀을 통해 시간여행이 가능할까’라는 질문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오히려 ‘시간여행을 통해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영화의 ...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유사한 증세의 원인이 될 수 있다.“쥐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보면 스트레스는 지식을 활용하는 등 고차원적인 뇌기능을 떨어뜨리고 즉각적인 보상에 집중하게 만듭니다.”즉각적이고 자극적인 보상에 집착하는 모습도 ADHD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ADHD 환자는 평소 일에 무기력하다가도 자신이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어떤 존재로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내게 될까. 고작 우주의 5%밖에 모르던 인류가 지식의 범위를 넓혀가게 될까, 아니면 암흑에너지란 애초에 없었고 우리가 알던 과학이 틀렸다고 밝혀지게 될까. 암흑에너지 탐사는 우주의 비밀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우리에게 제시할 것이다. 우주의 한 구석에서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