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우리는 위기 앞에 경험과 기술을 나눴다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역시 대부분 상승하고 있다. 이 상황이 지속된다면 개발도상국의 빈곤층은 식량 접근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위기도 누구에게나 공정하지는 않다 2015년 제70차 유엔(UN) 총회에서는 가입국이 모여 지속가능 발전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톞he Sustainable Development ... ...
[기획] 핵폐기물 어디에 버릴까, 미래 세대를 위한 처분장 후보 4가지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KAIST 인공위성연구소장도 “결국 평화적인 목적으로 핵폐기물을 우주에 버리는데 얼마나
큰
비용을 감수할 수 있냐 하는 경제성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핵폐기물 문제에 관해 답을 찾아야만 하는 시기가 온다면 심지층으로 갈지 심우주로 갈지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지난 4월 ... ...
[인터뷰] "남극이라는 흰 도화지에 그림을 그립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인력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는 역량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소장이 된 뒤 가장
큰
성과는 단연 아라온호를 무사히 건조한 일이었다. 아라온호는 2009년 완성된 국내 최초 쇄빙연구선이다. 얼음으로 덮인 곳을 부숴 항로를 만드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남극 연구에 필수적이었지만, 이전까지 ... ...
[수학뉴스] 수학의 가장 먼 두 분야를 연결한 수학자 아벨상 수상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칠판에 그리면서 위상수학에서 이 둘의 모양은 같다는 사실을 알려 주었을 때 수학에
큰
매력을 느꼈다고 해요. 이후 바로 전공을 수학으로 바꾸었지요. 그는 ‘아인슈타인 석좌교수 수학 세미나’를 기획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초대된 수학자 한 명이 강의를 시작하면 학생들은 중간에 계속 ... ...
[기획] 데이터 분석으로 꿀벌을 구하라!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났어요. 그런데 놀랍게도 같은 기간 도시 벌과 시골 벌이 수집한 꿀의 양을 비교한 결과
큰
차이가 없었지요. 바로 도시의 정원에는 벌이 꿀을 모으기 좋은 꽃들이 많기 때문인데요. 반대로 농촌엔 식용 작물 외에 다른 식물은 많지 않기 때문에 더 멀리까지 먹잇감을 찾아 나서요. 이동 거리가 긴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대원 | 숲속애 팀탐사 생물
큰
고니발견 위치 경북 구미시 하정주 매니저구미에도
큰
고니가 찾아왔군요! 우아한 자태가 아름다워요. 조류 장유준 어린이 | 나그네 대원탐사 생물 중백로발견 위치 - 박정우 조류 연구원 눈 밑의 기각 부분을 보았을 때 중백로로 보입니다. 여름 ... ...
[기획] '마르스'를 향한 아르테미스의 기나긴 여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많이 들지요. 그래서 전초 기지로 달 탐사를 다시 시작했습니다. 물론 달 탐사 자체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달에 대해 밝혀지지 않은 것이 아직도 많고 지구에서 시도하는 원격 측정에도 한계가 있으니까요. 달에서 데이터들을 직접 수집해 분석하면 심우주 탐사에 많은 도움이 될 거예요. Q달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시대, 새로운 3.1운동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디지털 세상 연대의 사례는 또 있어요. 2014년 전라남도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라는
큰
배가 침몰하고 말았어요. 안타깝게도 제주도로 수학여행을 가던 학생들을 비롯해 많은 사람들이 희생됐지요. 당시 정부와 승무원의 초동 대처가 안일했다는 지적이 있었고, 사건 이후 희생자를 추모하고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 숲을 밝히는 핑크 랜턴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엄두도 내지 못했지만, 가든샵에 방문해서 아름다운 꽃을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큰
즐거움이었다. 그래서인지 다양한 종류의 열대 식물들이 가득한 온실이 있는 수목원에서 일하면서 다시 그 꽃을 보게 됐을 때는 첫눈에 반했던 사람을 다시 만난 것처럼 기뻤다. 포도송이처럼 주렁주렁 피는 꽃 ... ...
[특집] 위기의 원인은 공급, 수요, 배분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않더라도 수요가 안정적이라면 위기는 닥치지 않는다. 그간 식량의 수요 변화에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인구 증가율은 점차 정체되는 추세다. 하지만 축산 사료와 바이오 연료 등 곡물의 쓰임새가 넓어지며 수요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정된 자원인 식량을 두고 사람과 가축, 이동수단이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