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가
해변
연안
물가
연해
해변가
연해변
d라이브러리
"
해안
"(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고산식물군락이 도솔산의 능선을 거쳐 멀리 펀치볼이란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곳인
해안
분지에 이르기까지 덮여 있다. 가히 우리나라의 유일한 원시상태의 숲이라 부를만 하다. 이곳에 고층습원이 존재한다는 것이 처음으로 학계에 알려진 것은 1966년경 한국자연보존위원회(현재의 ... ...
우주개발에서도「MADE IN JAPAN」시대가 올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잇달은 발사 실패를 염두에 둔것임을 말할것도 없다. “이 H-I 발사대에서 바위 투성이의
해안
선을 1마일 정도 간곳에는 불도저가 새로운 H-II발사대를 위한 정지작업을하고 있다. H-II는 1992년에 실용화할 예정으로 미공군의 타이탄 34D를 웃도는 페이로더를 정지궤도에 보낼수가 있다” H-II는 ... ...
지구과학 단원마다 주제에 대한 의문을 갖고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동
해안
에는 절벽이 많고
해안
선도 거의 일직선인데 서
해안
과 남
해안
에는 섬도 많고
해안
선이 그렇게 복잡할까?·세계의 지붕이라고 불리우는 히말라야 산맥은 어떻게해서 생겨난 것일까? 그리고 아메리카의 록키 산맥과 안데스 산맥은?·왜 화산과 지진은 태평양을 둘러싼 대륙의 변두리에서 많이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행성은 없다. 지구에서 대양에 관한 알려져 있는 것이라고는 대륙과 경계를 하고 있는
해안
에 불과하고 대양밑의 거대한 전경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었다. 인류는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대양의 상태에 관심을 갖게되었다. 그 이후 오늘날까지 바다밑 생물의 신비함을 탐험하기 위해 많은 ... ...
대표적인 봄꽃, 개나리와 진달래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한다. 바닷가와 높은 산에서 흔히 자라는 털진달래 중엔 흰꽃이 피는 흰털진달래도 있어
해안
근처에서 간혹 나타난다.진달래꽃은 먹을 수 있다고 해서 참꽃이라고도 하고, 산철쭉은 먹을 수 없으므로 개꽃이라고 한다.개나리와 진달래는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지역에 피는 공통점이 있으나 약간씩 ... ...
생태계의 미묘한 취약지구 사막이 늘어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이유로 생기는 사막으로는 그 밖에 남미 등지에서 볼 수 있는 한류의 영향에 의한 '
해안
사막'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사막과 그 주변의 미묘한 생태계의 균형을 인간이 교란해 생기는 '인공사막'이다.지난 1977년 세계적으로 번져가는 '사막화 현상'에 대처하기 위해 제1회 ... ...
인류 최후의 자연자원 바다가 병들고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최근의 두드러진 현상을 대규모의 간척사업이 전
해안
에 걸쳐 활발하다는 것이다. 이로서
해안
생태계가 파괴돼 연안어업은 심한 침체를 면치 못하고 있으며 생계터전을 상실당한 어민들의 보상 요구가 치열해지고 있다 ... ...
빈곤과 환경파괴의 악순환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호수의 어부들이 공해 때문에 생계수단을 잃었다. 연안 어부들도 산업폐기물과 기름이
해안
에 침입해 들어오자 도태되었다.제3세계의 급속히 성장하는 도시들은 에너지와 맑은 공기 그리고 물을 값싸게 제공하는 자연의 능력을 지나치게 혹사하고 있다. 가장 불행한 것은 도시 빈민들은 이 세가지 ... ...
초능력을 군사목적에 쓴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등을 사용한 탐지지난해 8월 19일의 AP발신에 의하면 미해군은 85년 사우드캐롤라이나
해안
에서 특수실험을 했다. 그것은 해양성 포유류를 사용하여 해중의 기뢰를 찾아내는 실험으로 약 80개의 기뢰를 찾아냈다는 것이다. 이 수치는 최신에 개발된 기뢰탐지 장치의 발견률에 필적하는 높은 것이다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하천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퇴적층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을숙도는 하천영역에서
해안
영역으로 환경이 바뀌면서 형성되어 온 모래섬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최하부의 자갈층은 기저역층으로서 을숙도 뿐 아니라 낙동강하구의 부산만과 광양만 등 한반도 연안과 일본 등지에서도 충적층 하부에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