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축제로 들뜬 CERN의 사람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개의 다양한 입자가 생기는데 이를 ‘배경사건’이라고 부른다. 노 박사는 힉스 입자의
흔적
을 명확히 찾을 수 있도록 배경사건을 제거하고 있다. 모래 안에서 바늘을 찾기 위해 모래를 없앨 방도를 찾는 셈이다.힉스를 뚜렷하게 관찰하려면 입자 신호 1개당 배경사건이 2개 이하로 낮아야 한다. 최근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오게 된 이유는 2002년 화성 궤도선 오딧세이가 이 지역에서 물을 구성하는 수소원자
흔적
을 대량으로 발견했기 때문이다.이번 미션에서 내가 맡은 임무는 땅을 파서 그 안에 들어있는 얼음 알갱이를 찾고, 토양 속에 들어 있는 여러 가지 광물을 분석해 화성 토양의 특성과 역사를 파악하는 일이다.이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아프리카는 화려한 색깔의 대륙이다. 가슴이 터질 것 같이 푸른 하늘과 손에 잡힐 듯한 구름, 다양한 색깔의 꽃들과 사바나의 야생동물들, 그리고 ... 언젠가는 모래언덕으로 완전히 덮일 것이다. 훨씬 더 오랜 시간이 지나면 이곳은 강물의
흔적
을 결코 찾아볼 수 없는 사막이 될지 모른다 ... ...
2. 내 짝은 초대칭 입자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여기서 LSP는 전기적으로 중성이고 약한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검출기에 아무런
흔적
을 남기지 않고 빠져나간다. 때문에 LSP를 직접 관측하는 일은 불가능하다.대신 에너지가 큰 입자들의 궤적과 LSP가 주는 결손 에너지를 추적해 간접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LHC 실험에서 이런 특징을 갖는 충돌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실제로 고고학 유물을 보면 인류의 조상들은 동물의 골수를 먹었으며 식인을 한
흔적
도 여러 곳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식인과 관련된 프리온 질병이 퍼져 부족 구성원이 대량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반복적으로 발생했을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MV형인 사람이 생존에 유리했을 ... ...
전 소대원 몰살시킨 의문의 바이러스 GP506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시체를 검시하던 군의관은 시신의 훼손 상태가 심하고 일부 사체의 피부에서 기괴한
흔적
을 발견해 노 원사에게 알린다. 병사들 사이에 끔찍한 살육이 벌어진 것일까? 아니면 전염병이 돌았던 것일까?GP를 샅샅이 뒤지던 군수사대는 또 다른 생존자 유정우 중위(조현재 분)를 발견한다. 유 중위는 GP ... ...
NASA 우주비행사가 찍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수 있다. 지금은 극도로 건조해 연간 강수량이 0에 가깝다. 이 때문에 사진에서도 식물의
흔적
을 찾아보기 어렵다.오렌지색 엷은 띠는 대류권이다. 대류권은 지구 대기권 중 가장 낮은 층으로 밀도가 높다. 유일하게 숨을 쉴 수 있는 대기층이기도 하다. 대류권 바로 위로 오렌지색과 푸른색 띠 사이는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호모 사피엔스가 매머드를 사냥하고 매머드의 고기를 먹었으며, 뼈로 집을 지었다는
흔적
이 많이 발견되고 있어요. 그래서 매머드의 멸종이 인류의 과도한 사냥이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었지요. 그러나 마지막 빙하기가 끝날 무렵 찾아온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더 큰 요인이랍니다. ● ... ...
공포의 신 '포보스' 얼굴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또 “스티크니 구덩이 안쪽에 보이는 선들은 산사태가 일어난
흔적
”이라고 덧붙였다.화성탐사선 MRO는 현재 화성 상공 250~316km를 시속 1만 2500km의 속도로 돌며 탐사활동을 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MRO의 고해상도 사진으로 포보스와 데이모스의 토양 성분을 분석할 예정이다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140여 년 전 고종 때 시행된 경복궁 중건 공사의 기록에도 전국의 소나무가 사용됐던
흔적
을 찾을 수 있으며 1992년부터 지속되고 있는 경복궁 복원사업에도 여전히 소나무는 주 건축재로 사용되고 있다. 조선 초인 1398년에 완공된 숭례문도 소나무로 축조됐기 때문에, 그 숭례문을 소나무로 복원해야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