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뉴스
"
결론
"(으)로 총 1,99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텅빈 우주 아닌 이유’ 중성미자 관측에서 단서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8
탐지해 두 입자의 진동변환 특성이 다름을 추정해 대칭 깨짐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내렸다. 추가 데이터가 쌓이면 보다 분명히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벨재단 제공 연구팀은 JPARC를 조절해 뮤온 중성미자와 뮤온 반중성미자를 각각 발생시키게 한 뒤 슈퍼 카미오칸데에서 ... ...
코로나19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어떻게 증식할까...게놈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4.17
2의 증식도 막을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아직
결론
을 내리기엔 연구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중국 연구팀이 10일 '사이언스'에 공개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RNA 복제 및 전사효소 'RdRp'의 상세 구조다. 아래 알록달록한 부분이 비구조단백질(nsp)12이고, 위 회색이 nsp ...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2022년까지 필요할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4.15
있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간헐적 사회적 거리두기는 2022년까지 유지될 필요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진은 “향후 5년간 환자 수와 감염 수준, 집단면역 등이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과 수준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이같은 사항을 알기 어려우며 장기적인 ... ...
"렘데시비르 여전히 '유망'…리바비린 '속빈' 강정" 코로나19 치료제 중간 점검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4.15
효과가 불분명하고 잠재적 독성은 높아 코로나19 치료제로서의 가치는 별로 없다”고
결론
내렸다. ●렘데시비르 : 여전히 꺼지지 않은 희망의 촛불. 하지만 낙관은 금물 코로나19 사태로 가장 주목 받은 후보물질이다. 리바비린과 비슷하게 RNA 염기분자 유사체로 복제를 방해해 바이러스 증식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클로로퀸'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
2020.04.14
발표한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코로나19의 효과에 대한 보고는 대조군이 정확하지 않아
결론
을 내리기에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아무래도 정확한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 원문 출처 : 기초과학연구원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이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스터 트롯의 뇌과학
2020.04.14
노래의 언어 정보와 음악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가를 규명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결론
부터 말하면 언어 정보의 핵심인 단어는 좌뇌에서, 음악 정보의 핵심인 멜로디는 우뇌에서 주로 처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가 노래를 감상할 때 노랫소리라는 하나의 음파를 좌뇌와 우뇌에서 각각 별도의 ... ...
"국산 당뇨 합병증용 신약후보물질 코로나19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4.14
보이는 간수치 상승 등의 부작용도 없었다”며 “다른 후보물질과 경쟁해볼 만하다는
결론
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이수진 압타바이오 대표는 “APX는 인체세포의 녹스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변이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를 일으키는 ... ...
KIST, 설립 54년만에 첫 신임 원장 선임 ‘불발’...연구회 재공모 추진키로
동아사이언스
l
2020.04.10
과반 득표자가 없어서 선임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사실상 ‘적임자가 없다’는
결론
이기 때문이다. 연구회 관계자는 “이번 선임 과정에서 최종 후보에 오른 분들이 다시 재공모에 지원하면 안된다는 규정은 없다”며 “다만 관행적으로 다시 지원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약 2억년 전 공룡 알 화석 속 배아 두개골 3D 복원
연합뉴스
l
2020.04.10
이는 지난 2억년간 파충류의 배아 발달단계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론
을 내렸다. 논문 공동저자인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의 요나 코이니어 교수는 "2억5천만년 이상된 파충류 진화 과정에서 배아단계 두개골 발달 방식이 거의 똑같게 유지된 것은 놀라운 것"이라고 밝혔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인공지능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 예측
2020.04.10
발견되는 18개 증상을 구분해냈다. 연구진은 폐 CT 영상과 함께 이들 18개 지표를 종합해
결론
을 내린다면, AI로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IT기업 알리바바는 실제로 폐 CT를 통한 AI 검진시스템을 지난 2일부터 실전에 도입했다. 알리바바의 AI는 폐 CT 사진을 분석하고,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