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모 혈액만으로 다운증후군 더 정확히 판별하는 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구성하는 탄소원자와 질소원자를 인위적으로 동위원소인 13C와 15N으로 치환하도록
미생물
을 배양해 만든 것이다. DNA 정제과정에서 발생한 손실을 보정해 원래 함유된 DNA 양을 측정하는 원리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새 표준물질이 실제 임산부 혈액의 DNA와 99%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권 ... ...
장내
미생물
은 약물도 '꿀꺽'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레보도파를 복용하는 환자들의 효능과 부작용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
미생물
의 간섭은 레보도파와 파킨슨병에만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 ...
A형 혈액을 O형으로 바꾸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점막에서 분비되는 점액물질로 적혈구의 항원과 유사하다. 연구팀은 대변 샘플에서 장내
미생물
을 수집해 뮤신을 분해하는 효소 2종류를 찾아냈다. A형 혈액에 효소를 투입한 결과, A형 항원이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위더스 교수는 “이번 연구는 혈액의 공급량을 늘려 혈액부족 사태를 ... ...
마크로젠, 호주 장내
미생물
분석기업 마이크로바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양갑석 마크로젠 대표(왼쪽)와 블레이크 윌 마이크로바 대표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마크로젠 제공.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이 호주 장내 미 ... 적합하다. 양갑석 마크로젠 대표는 “마이크로바 투자를 통해 경쟁력 있는 장내
미생물
분석 서비스를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서식가능지역' 행성도 유독가스로 다세포 생명체 존재 난망
연합뉴스
l
2019.06.12
일으켜 대기 중에 CO가 집적되는 것을 차단한다. 연구팀은 CO가 많은 환경에서는
미생물
이 번성할 수는 있어도 지구의 동물이나 인간이 살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외계 행성은 지금까지 약 4천개가 발견되고, 점점 더 늘어나겠지만 가장 가까운 '프록시마 b' 행성마저 현재 과학기술로는 직접 ... ...
영유아 장내
미생물
관리하는 '스마일베이비'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따라 조성이 달라진다"며 "스마일베이비 서비스를 이용하면 출생 초기부터 장내
미생물
조성을 관리함으로써 성인이 될 때까지 건강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강운의 곤충記]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지구의 근심 덜어줄까
2019.06.05
연구팀은 꿀벌부채명나방 유전체를 분석하고, 왁스와 플라스틱을 먹였을 때 장내
미생물
없이도 폴리에틸렌을 분해할 수 있는 애벌레의 효소를 확인했다. 플라스틱 먹는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많은 가능성을 확인했고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 보인다. 1억 5천 ... ...
사람마다 면역력·약효 다른 이유는 '장내
미생물
'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미생물
이 내는 효소가 약물 대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사람마다 어떤
미생물
을 많이 갖고 있느냐에 따라 약물을 대사하는 능력이 달라진다는 뜻이다. 연구에 참여한 앤드류 굿맨 박사후연구원은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환자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물을 맞춤형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체내
미생물
의 바다 '마이크로바이옴'
동아사이언스
l
2019.06.01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발견했다. 그래고리 벅 미국 버지니아커먼웰스대
미생물
학및면역학과 교수팀은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해 조기분만(임신 37주차 이전에 분만)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메디신' 29일자에 실었다. 연구팀은 조기분만한 여성 157명의 질내 ... ...
과학으로 해석한 공포 영화 속 몬스터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6.01
결과다. 늑대인간 이야기를 만들어 낸 데에는 ‘광견병’도 한몫 했다. 1881년 프랑스의
미생물
학자 루이스 파스퇴르가 광견병 백신을 개발하기 전까지 광견병에 걸린 개나 늑대에게 물린 사람은 거의 100%로 광견병에 걸렸다. 그러면 물을 마시지 못하고 눈이 충혈되고 경련을 일으키다 대부분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